6) 비위(脾胃)의 양약(良藥) -- 보리약차
자기 향상의 길을 가는 구도자(求道者)로서 끊임없는 정진을 위해선 무엇보다도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건강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대부분 병원을 생각하고 약을 상상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나 우리 주변을 세밀히 관찰해 보면 건강유지 내지 증진을 위한 훌륭한 방법이 얼마든지 있음을 본다.
그리고 그것은 굳이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은 방법을 통해 이룰 수 있는 평범한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물은 지상(地上) 생물의 생성 소멸(生成 消滅)과 수요 장단(壽夭 長短)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그것은 수정(水精)의
묘(妙)에 기인한다.
인체의 오장 육부에 고루 좋은 약이 되고 또 여름철 찬 것을 많이 먹음으로써 소화기 계통에 냉습(冷濕)이 범하여 생기는 서체(暑滯) 등을 다스리는 것으로 보리약차가 있다.
보리약차는 보리차에 소나무. 잣나무의 관솔을 넣고 달인 것을 말한다.
끓이는 방법은 백비탕에 엿기름(맥아)을 살짝 찧어 볶은 것을 넣고 푹 달인 다음 그 찻물 1되에 소나무나 잣나무의
관솔 1냥(37.5g) 을 넣고 오래 끓이는 것이다.
백비탕은 맹물을 그대로 오래 달인 것을 뜻한다.
엿기름의 모체라 할 보리는 별 가운데 목성(木星)의 하나인 세성(歲星)의 정기(精氣)를 응하여 화생한 곡물이다.
이 보리로 엿기름을 기르면 보리 속의 진액과 외부의 맥아(麥芽) 성분이 합성하여 훌륭한 소화제가 된다.
엿기름을 분말하여 엿밥에 뿌리면 엿밥이 삭아서 엿이 되는 것으로 미루어 엿기름이 얼마나 좋은 소화제가 되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밀로 제조한 누룩도 소화제이고 율무도 술을 담그면 좋은 소화제가 된다.
소나무, 잣나무 역시 세성의 정기를 응해 화생한 물체로서 동방(東方) 청색소(靑色素)의 산소의 모체이며
인체의 간(肝)과 담 및 비위(脾胃) 에 좋은 약이 된다.
잣나무, 소나무의 관솔이나 또는 땅속의 뿌리를 써도 되는데 뿌리는 가급적 동쪽으로 뻗은 것을 택한다.
이를 잘 말려서 깎아놓고 쓴다.
백비탕을 보리약차의 찻물로 쓰는 것은 그것 자체가 약이기 때문이다.
물을 조금 끓였을 때는 금생수(金生水)의 원리에
따라 비린 맛[金味]이 나오고 오래 끓이면 화극극(火克金), 화생토(火生土)의 원리에 따라 단맛[土味]이 난다.
이렇게 단맛이 나는 백비탕을 찻물로 하여 보리약차를 달여야 약으로서의 효능이 보다 완전해진다.
이 약차를 오래 복용하면 비위를 도우므로 소화가 잘되고 입맛이 나며 피부가 윤택해지고 안색이 고와진다.
또한 몸속의 나쁜 것을 제거하고[去惡] 새것을 나게 하므로[生新] 온갖 종창(腫脹)을 치료하며,
치아를 튼튼하게 하므로 치통에도 좋다.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요통, 관절염, 척수염을 치유하고, 소염제(消炎劑)이므로 어혈(瘀血)을 낫게 한다.
댓글 ( 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