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백'(으)로 총 227 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도해 백과사전

백혈병

인산학적으로 백혈병은 비선으로부터 피를 흡수하는 간의 혈색소 조직신경의 색소가 고갈됨으로 인하여 피가 점차 줄어드는 병을 말한다.   현대의학에서는 백혈병(Leukemia)은 암세포로 변한 비정상 white blood cell(백혈구)이 증식하는 수가 매우 많아지는 병으로 혈액 또는 골수 속에 종양세포(백혈병 세포)가 생기는 질병이다. 백혈병은 경과에 따라 급성백혈병과 만성백혈병으로 구분합니다. 또한 급성 백혈병은 백혈병 세포의 종류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급성비림프구성백혈병)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으로 나뉩니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은 림프구계 백혈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고 말초 혈액으로 퍼지는데 간, 비장, 림프계, 대뇌, 소뇌, 척수 등을 침범하는 질병입니다. 대개 골수나 말초혈액에 림프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림프구성백혈병으로 정의 한다.      

도해영상 총 2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게시물 통합 총 18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미디어 계분백 농장
    신약의세계계분백
  • 인산 김일훈 선생 탄신(誕辰)시     일생(一生) 예견(豫見)한 백구시(百句詩)                                                         지은이 : 김만득(金萬得)           雁行八九 (안행팔구)          一雁獨飛 (일안독비)         每逢三災 (매봉삼재)          堂上有憂 (당상유우)         靑山夜月 (청산야월)          杜鵑作伴 (두견작반)         庭蘭之實 (정란지실)          其實五六 (기실오육)         左右財星 (좌우재성)          書中有祿 (서중유록)         驛馬得祿 (역마득록)          離鄕大吉 (이향대길)         活人有德 (활인유덕)          龍門貴客 (용문귀객)         九十之年 (구십지년)          玉輪朝天 (옥륜조천)         半萬史中 (반만사중)          天降彌勒 (천강미륵)          塵土佛生 (진토불생)          識者其誰 (식자기수)         龍樹開華 (용수개화)          東方瑞光 (동방서광)         慈悲得道 (자비득도)          名傳千秋 (명전천추)         .................................................................................................        해석:             기러기 8~9마리가 날아가다가             그중 하나가 홀로 행렬을 떠났다.             매양 재난을 만나             어버이에 근심 끼치고···             푸른산 달빛에 두견 벗삼으니             뜨락의 난실(蘭實)은 대여섯             좌우에 재성(財星) 있으니             글 가운데 녹이 있을 것이요             역마에 녹이 있으니             고향을 뜨면 크게 길하리라             사람을 살려 덕을 베푸니             나라의 귀한 손이요             아흔 살 무렵에는             옥수레 타고 하늘 나라 가리             반만년 역사의 땅에             하늘은 미륵을 보내었고녀             풍진 세상에 부처 났으니             알아보는 이 그 누구더냐             용수(龍樹)에 꽃 피니             동방에 상서로운 빛 발하고             자비로써 길을 여니             그 이름, 천후에 전해지리.            ..........................................................       참고 :         4언(四言) 1백구(一百句)에 달하는 장시(長詩)로서 아이의 일생을 예견한 내용         인산 김일훈 선생 탄신일: 1909년 음력 3월25일 밤10시쯤         사주 : 기유(己酉)년 , 기사(己巳)월 ,갑술(甲戌)일 , 을해(乙亥)시         이상(以上)은 인산 김일훈 선생 탄신 112주년을 맞이하여         “신의(神醫) 김일훈” 40쪽 발췌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교류의장일천편의 시
  • ytn 사이언스 "황금 나침판"도해 계분백
    신약의세계계분백
  • 미디어 ytn 사이언스 도해 계분백
    ytn 사이언스 도해 계분백
    고객센터보도자료

신약의 세계 총 46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증득의 장 총 40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인산학 총 52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6백년 弊習에 골빈 사람들만 득세   그럼 1개월 안에 죽을 사람을 백날 후에 효(效) 나는 약을 일러준다? 거 일러주는 내가 정신도 뭐 좀 잘못된 거고 마음도 어두운 거라.   그 사람들은 그러거나 저러거나 쫓아 버려야 되는데 차마 쫓진 못해.   그래서 일러주면 이 사람은 가서 달여서 먹는 도중에 죽을 게다. 그렇게 지금 비참한 사람 수가 너무 많아.   광복 후에 내가 제대로 약세상을 창조했으면 전세계에 지금 이렇게 비참하게 죽어 가는 사람이 몇십 억이 될 리가 없어.   박사라는 사람들은 미국을 숭배하는데, 미국은 약학(藥學)은 돌대가리고 병리학(病理學)에도 돌대가리야. 순 돌멩이야. 비행기나 만들고 이런 기술은 우리나라에 비하면 백 배를 앞선다 해도, 약학이나 의료계에 들어가면 나보다가 천년 후에도 안돼요.     우리나라에 지금 철부지들이 암을 잘 고치는 사람들이 있어요, 여자도 있고. 그러면 그 사람들 세상이 오고 있는데 그 세상이 완전히 온 뒤에는 어떻게 되느냐? 코쟁이들이 코가 납작한 게 아니라 싹없어질 거요.   코가 완전히 없어지면 뭐이 되느냐? 문둥병 환자가 아니고 에이즈 환자처럼 돼가요. 에이는 환자는 심할 적에 코가 다 없어요.   그러니 내가 볼 적에 우리나라 제도가 태종 때부터 잘못된 제도. 6백년 폐습(弊習)이 물러가기는 힘들어요.   그래서 나는 기성세대엔 바랄 거이 뭐이 있겠느냐? 누가 와서 물어도 그런 말 해요.   새로 태어나는 어린 것들은 내가 말한 말이 그것들 앞에는 아주 좋은 싹을 틔우고 좋은 꽃 피고 열매 열 거니까 어린 것들이 태어나면 그 결실은 완전할 거다.   기성세대는 안된다. 그런 말 내가 해요. 기성세대는 6백년 폐습에 젖었고 그때 학술에 밝으니 거 안되게 되어 있어. 학술이라는 건 한번 세상을 점령하면 바로 물러가질 않아요.     죽염에 대해서 내가 수정(水精)에 대한 근본을 말한 건데 그걸 지금 좀 옳게 하게 일러준다 했으니 그건 뭐이냐? 우리 애들이 하는 걸 도와 가지고 절대비밀이다. 그건 애들 세상은 통하나 내겐 통하지 않아.   왜놈한테 총에 맞아 죽어도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그런 걸 비밀에만 붙이고 살까?   죽기 전에 가짜를 맨들어서 많은 사람의 종말은 도움이 안되는 일이라면 완전한 도움이 되도록 일러주는 게 내가 죽기 전에 할 일이야.
    인산학이야기속으로
  • 백두산 天池의 신비는 甘露水 기운       그러니 여러분은 내 말을 따르지 않는 건 나보다 실력이 앞서니까[앞선다면] 좋으나, 나보다 실력이 모자라는 사람이 내 말을 안 따르면 좋을 거라고 생각할 수 없겠지.   그건 뭐이냐? 첫째 인간은 병 없어야 하는데 병들었으면 병 고치는 법을 알아서 병을 고쳐 놓은 연후에 다시는 병이 오지 않도록 노력 할 수 있으니, 첫째 병 고치는 법과, 둘째 병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법과, 건강하게 되면 모든 능력을 갖추니까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행운이 열리게 돼 있어요. 그러면 행운이 열리면 죽고 싶지 않아.   죽고 싶지 않다면 오래 살아야 되는데 장수하는 결(訣)이 있느냐 하면 있어요. 장수하는 결이 없다면 나는 왜놈의 손에서 살아남지 못할 사람도 광복 후에 육신의 건강을 도모해서 오늘까지 생명을 유지한 경험을 봐서 오래 살 수 있다.   그건 나의 경험담이라. 그리고 내 말을 듣고 많은 사람이 살고 있으니 그 경험담은 어느 세상에도 필요해. 그러나 신비한 약물은 한국을 떠나고 있을 수 있다곤 하나 양이 적을 거요.   건 왜 그러냐? 한국에는, ‘백두산 천지(天池)의 신비’가 앞으로 12월호 잡지 [월간<민의약>]에 나와요. 거기에 보면 천지에서 단군할아버지 올 수 있는 맥락이 천지에 있다는 거요. 난 그걸 어려서 보았고, 아는 사람이오.   그래서 거기에 대한 내용을 세밀하게 세상에 전하는데, 감로수(甘露水)가 있기 때문에 천지에서 이루어지는 겁니다. 그게 흘러내려 가지고 산맥을 따라서 명당처에 가면 감로수가 생기는데, 그 감로수는 천년에 한 번 밤 12시[子時]에 잠깐 비치는 거지. 사람이 밥 해먹을 수 있는 양이 나오질 않아요.   그러나 그 감로수의 정(精)은 항시 12시면 조금씩 물속으로 스며 나와 가지고, 우리나라의 초목은 그 수분이 증발돼 가지고 그 비와 이슬을 맞기 때문에 신비한 약물로,   이[美國] 나라의 산삼(山蔘)이 좋기는 하나, 사람 모양으로 튼튼하고 큰데, 약효로 말하자면 조그만 보잘 것 없는 한국의 산삼(山蔘)보다는 나을 수 없어요.   중국도 그러고 세계가 다 그래요. 산삼(山蔘)이 없을 순 없어요. 똑같은 뿌리인데, 그렇지만 그 효능은 달라요.   그래서 산삼(山蔘)이 생길 수 있는 원리와 또 한국 연안에 어느 나라 고기도 들어오면 태평양 고기 중에 어디서고 오면 사흘 후에는 한국 연안의 바닷가엔 감로정이 항시 남아 있어요.   물속엔 늘 흘러 내려와서 남아 있는데, 거기 들어와서 사흘만 있으면 그 맛이 유독히 달라요.   그 증거는 북양(北洋)에서 오는 청어가 청진 바다에 들어온 지 사흘이 지난 후에 잡히면 동해청어라고 특별히 맛이 있어요. 일본에서 오는 정어리도 그렇고, 명태도 그렇고. 태평양 명태하고 한국에서 동해안 연안에서 잡힌 명태하고 다른 이유가 그겁니다. 그거니.
    인산학인산본초약물
  • 백두산 天池가 생긴 내력     애기들이 천자문 듣고서 웃는 거 한 가지로 웃을 소리인데요. 안 들어 보던 소리, 세상에서 모르는 소리. 그런 소리를 처음 들으면 웃는 소리밖에 안 듣는다.   거 왜 그러냐? 우리나라에 백두산이 있소. 천지가 있소. 그 천지가 왜 생겼느냐? 그건 캄캄한 소리일 뿐이야. 그 천지는 꼭 있어야 되겠기 때문에 있는 거라. 그 이유가 뭐이냐?     전겁(前劫)에, 히말라야가 몇십 겁 전에 화구가 분출할 때에 대지진이라고 봐야겠지? 이 지구 창조시에 된 히말라야는 아니고 중간에 대화구가 폭발시에 된 건데. 그러면 이 지구의 산으론 중간 점의 조종(祖宗)이라.     산의 조종이면 이 지구에 있는 모든 영(靈)을 총괄해요. 우리 눈으론 못 봐도 그 총괄하는 관리자가 히말라야야. 그 영력이 하나하나 흩어져 나가는데 서장고원(西藏高原)엔 곤륜산(崑崙山)이요, 그 다음엔 저 아프리카 아메리카 저쪽으로 흩어져 나간다.   그래 나가면 거기 나갈수록 이상한 영력이 생겨나요. 그게 이 대륙을 통하고 대해의 수정기운(水精氣運), 하늘의 별기운 자꾸 합류돼 가요, 가는데.   이 물은 내려가게 되면 땅에 스며들어가기 때문에 양이 줄어들고, 바람도 나가다가 사방에서 바람을 흡수하는 지역이 자꾸 생기기 때문에 하나하나 땅에서 올라오는 기운하고 합류하면 줄어들어요.   바람도 바다에서 화구가 분출할라고 하다가 안되게 되면 땅 위에 폭풍이 이는데. 그 폭풍이 일적엔 산이 허물어지는데.   나오다가 사방에서 분산시켜 가지고 흡수하는데 많아서 줄어들어요. 그래 폭풍도 시작보다 마지막에 가 없어져요. 그러면 우주의 비밀이라는 건 시작은 크나 마지막은 없어지는 거이 용두사미(龍頭蛇尾)라.   그런데 이 백두산에 와서 천지가 왜 생기느냐? 하늘에 은하수가 있어. 은하계가 있는데 뭇 별인데 2만여 개야. 양명학(陽明學)에서 20만이라는 건 거, 몰라 그러고.     서양 천문박사들이 20억이 넘는다고 했는데, 그건 너무 몰랐고. 2억이라는 숫자에서 나오는 불꽃도 굉장히 무서운 불꽃이 나와요. 그건 내가 말하는 사능선(射能線). 그 불꽃이 선을 타고 모아진 것이 태양되고. 태양이 하나냐? 그거 아니에요. 이 은하계에서 분열되는 불꽃은 한 군데만 가는 거 아녜요. 이 사바세계에 와서는 태양계에 모두 위치하고 있지만 저 구로주(俱瀘州)에 가면 달라요.      
    인산학대도론
  • 제5부 잡병Ⅱ 제1장 1. 백종암의 신약 구전백령사 2. 오의 고행은 오직 핵독과 괴질의 예방을 위해     1. 백종암의 신약 구전백령사   일왈 비상백령사니 백반으로 제조하는 당비상구전 백령사요, 이왈 석웅황백령사니 백반으로 제조하는 석웅황구전 백령사요, 삼왈 수은백령사니 백반으로 제조하는 수은백령사니라.   각종암병 치료에 오일간이면 완치자 반이요, 난치자 반이니 오핵단 재료(돼지․염소․개 등의 간)이전에 구전백령사 오분씩 가미하여 환약을 제조하여 복용하면 신효하나니라. 구전백령사법은 홍령사전하는 숙련자와 노숙자에 의하여 제조하되, 필히 구전을 요한다.   2. 오의 고행은 오직 핵독과 괴질의 예방을 위해   오는 한사빈가에서 출생한 자나 전생에 약리를 각한 자라. 생후구한은 왜국식민지로 변하니 심즉불쾌하나 국운에 인간의 미력으로 불가항력이요, 석에 성자의 본심소행은 고행이라.   석가세존과 공부자와 주야소는 고행위주하니, 오는 우생천생이라. 연이나 전성제제창생을 원하는 본심고행을 계 속하여 극빈극천이 시역천이라.   천신공감도 칠십이년이라. 천생안전에 흉증도 난치어늘, 극난한 괴질이 불원하니 불안지심을 난감하여 생전에 극 강한 해독제 전편을 약하여 발행하노라.   우심에 미안한 바는 자칭 구세주라 하는 자가 백년간에 허다하나, 인류에 있으면 안될 핵이란 물체와 괴질이 있어 도 제거하지 못하며, 제거묘안을 발표하지도 못하는 점이다.   인류에 불안한 요소는 이천년전부터 싹터 왔다. 진대말 왕자정의 만리장성역에 원혼과 삼천궁녀와 궁중비명횡사 자의 악기와 흉기는 불상지조며 초패자와 서한․동한․한말까지 삼천궁녀와 궁중비사와 전화천화가 계속되고, 근대 백년간의 전사악사 횡사자의 수는 기하요?   이천년간에 악기와 흉기는 공간에 팽창하고 지중 핵광석물의 흉기 독기 살기는 지상에 팽창하고 지하핵의 원료로 살인물을 지상에 적재하니 공핵과 악기의 마찰로 인하여 시시로 흉기악기는 살기로 화하는지라.   고로 인심이 자연히 살인핵심으로 변하여 살인위주하니 괴질이 불원하며 자연시효로 핵폭파도 불가피요 인심이 살인핵심이면 핵을 남용하리니 괴질의 비명자와 핵독피해로 비명횡사자 기하리오? 유한천추이며 가탄 가탄이로 다.   중생은 여시한 일시를 쾌락하나 각자로 남가일몽을 쾌락호아? 구세주는 자금불원에 출현하여 덕화만방 하려니와 오는 창생을 미제하니 획죄어천하고 득죄어중생이라. 말년에 사죄하기 위하여 신약비전 일부를 생전에 전하고 전 부는 사후에 공개되리라.
    인산학우주와신약

인산의학 총 9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백혈병으로 오는 폐렴엔 호도기름을 쓰라       그것이 사람의 몸에서 모든 생명체를 고정시키고 있어요. 거기에 잘못되면 백색에선 백혈이 오는 거고, 적혈이 백혈을 해쳐도 안되고 백혈이 적혈을 해쳐도 안돼요.   그게 백혈병 중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임파선으로 조직되는 백혈도 있겠지만 골수에서부터 이뤄지는 백혈도 있고, 또 기름 속에서 이뤄지는 백혈도 있는데,   그 백혈병에 어려운 고비는 뭣이냐? 급성폐렴이 들어오면 열 시간 안에 숨 떨어지게 돼 있어요.   거기엔 무슨 약이 필요하냐? 그렇게 급사할 적엔 호두기름이 최고인데, 그건 밥솥(찰밥)에 두 번만 쪄서 기름 짜도 돼요. 기 기름 짜는 설명까지 세밀히 하는 건 시간이 좀 너무 걸리는데 그 훗날에 잡지[월간<民醫藥>]에 자세히 보면 나올 거요. 그러면 그 기름이 아니곤 애기의 급성폐렴이나 어른의 급성폐렴을 살린다는 건 거짓말.   내가 오늘까지 누구도 못하는 걸 봤기에, 나만이 그걸 실험해 보니 완전무결했어. 그 동안에 수 십 만의 생명이 구해졌으니 약간 문제가 아니겠지.   내가 지금은 너무 힘들어서 누구도 대해 주지 않는 건 게을러지는 이유가, 기운이 없어 그래요.   피로가 겹치니까 그런 건 못하게 되고. 늘 혼자 있으면 피로가 좀 풀리고. 누가 와서 자꾸 물으면 피로가 겹쳐서 안 되게 되니까 자연히 세상을 돕는 덴 학술 이외엔 이젠 안돼요.   이제 얘기하는 건 의학으로서 미비점을 말하는 거라. 의학의 적혈 조성의 염색체가 심장에서 어떤 이유로 온다.   그럼 공산에 있는 적색은 적색분자가 이뤄지는데 그건 심장에서 연결이 돼 있고, 폐의 백색은 폐에 연결이 돼 있어요.   그래서 이 색소세계가 결국엔 염색공장 췌장인데, 췌장은 염색공장으로 다 직행해요.   직행하는 노선은 다 정류장은 하나씩 있는데 백색 비선은 비장에서 정류하고 넘어가 고 적색 비선은 간에서 정류하고 넘어가요.   이래 가지고 췌장에서 적혈, 백혈이 완성된 연후에 하자가 없어야지, 수장(水臟 ; 김일훈 선생은 5장6부에 수장을 추가하여 6장6부라 함)에서 기름 속에 있는 수분이 약간이라도 하자가 있으면 그건 언제고 혈관암이 와요.   그래서 그 세계에 대해서는 앞으로 내가 죽기 전에 완전무결한 비밀을 밝혀 줄 거요. 그 책에 나올 겁니다, 이런데.
    인산의학
  • 뼈를 만드는 소금 속의 백금 성분     그러면 이 소금 속에 뭐이 있느냐? 소금 속에 백금이 있어요. 소금 속의 백금 때문에 모든 석회질을 합성해. 그래서 석회질을 모아다가 뼈를 만들어. 그래서 뼈 만드는 작업은 소금 속에 있는 백금이 전부 해.   그래서 백금 기운이 왕래하는 걸 신경, 또 백금 기운이 이뤄지는 곳을 뼈에는 손톱처럼 하얀 겉충 뼈라. 그건 백금 기운이 몇만 분지 일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거지, 그거 없으면 석회질은 금방 삭아 버려요.   그래서 소금 속에 있는 불순물을 완전 제거하면 지금 내가 세상에서 사용하라는 죽염은 그 불순물이 완전 제거됐어요. 90%는 완전 제거됐어요. 9%는 남아 있을까 몰라, 이런데. 그건 뭐이냐? 아까 말하던 눈 깜빡할 사이에 용해시켜 버려야지, 그 불순물이 싹 제거되지. 그러지 않으면 중금속이 녹아나가기 이전엔 안돼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만드는 거. 거, 뭐 업자는 업자끼리 서로 심술을 부리지만 내가 ≪불교신문≫에도 게재해 놓고 죽염 만드는 법을 게재하고 거기에 완전히 불순물을 제거하는 비밀을 일러주지 않은 이유가 뭐이냐? 내게 와서 철저히 배우고 간 사람은 틀림없을 겐데 아, 이거이 저희끼리 좀 해보고 거 아무도 되니까 그걸 벌써 팔아먹을 생각부터 한다. 팔아먹는다는 건 완전 상품이 돼야 팔아먹는 거야.   거기에 중금속이 얼마나 남아 있더냐? 그걸 알고 하는 건 좋은데 너무 막연해. 그래서 죽염제조는 많이 해요. 많이 하나 내게 와서 배우는 애들은 그저 어지간히 중금속이 없어지는 때까지 노력하고 상품으로 쓰면 되니라 하지 그러지 않은 건 진짜는 없어요. 대체로 만드는 사람들이 진짜를 만들 수 있는 상식을 못 가지고 있어요. 헌데 내가 그걸 철저히 공개해야 되는데, 철저히 공개할라면 가정에서 아무도 다 만들 수 없고 너무 힘드니까 날 오히려 다른 사람 못하도록 한다고 욕이나 해요. 그래서 아무렇게나 해먹게 놓아두면 그것도 사람한테 도움이 되니까 사람을 해치는 것 같으면 안되겠지.   지금 외국에서 먹으면 안되는 풀을 갖다가 좋은 약이라고 판다고 방송 나오는데 그건 몇 억이나 몇십 억을 사기한 연[연후]에 기관은 발표한다. 그건 내가 뭘 보느냐?   청계천에서 사람 먹으면 죽는 물 가지고 막걸리를 광복된 후에 20년을 했다. 20년을 하다가 다른 데 옮겨 가지고 20년을 해서 40년이 다 된 후에 발각된 일이 있어요.   그러면 40년간에 청계천 물 가지고 만든 막걸리 먹은 사람이 서울 바닥에 수가 얼마일 거냐? 그 사람들을 모조리 골병 들여[골병들게 해] 놓은 후에 발표하는데 내가 거 아무 둑 밑에 비밀 양조장이 있다하는 소릴 듣고 거기 근처에 내가 몇 번 가보고, 그런데. 그거이 뭐이냐?   청계천 물을 호스로 끌어들여요. 파이프로 끌어들이는 장치 다 돼 있어요, 있는데. 거기에 파출소 주임이 갈려져 오든지 보건소 소장이 갈려져 오든지 누가 근처의 경찰관서에 주둔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들에게 금품을 제공하여 팔자를 고치게 해주는 거라. 나는 그것을 보고 이게 바로 대한민국이구나 하고 개탄해. 대한민국의 법은 눈치 빠른 사람의 법. 그래서 내가 청계천 둑에 가서 보고 세상이 그렇다는 것을 알아. 이런 세상에서 사람들에게 나 혼자 건강법을 말해 주었자 소용없어. 지금도 어느 구석엔가 건강을 해치는 사람이 많이 있어요.   한 사람이 건강을 위해서 애쓰고 많은 사람이 건강을 해치는 일을 하니 참으로 문제야. 현 정부 산하에서는 고친다는 거 믿을 수 없어. 5공 청산은 다 되었다고 하나 우리가 믿을 수 없듯이.   그러니 내가 세상에서 편하게 못사는 게 그거라. 좋지 않을 일, 쏘아붙인 일이 많아요. 지까짓 게[제가] 장관이면 장관이지 내가 그 장관 때문에 생명을 바쳐야 되나? 난 생명을 어디까지나 세상에서 좌우할 수 있어.   세상에 내가 전할 걸 다 전하면 나는 가는 거라. 그런데 그 너저리한 놈들 세도(勢道)에 내가 흔들리고 말려들고, 말려들면 들지 그게 뭐 대단한 건가? 왜놈의 때에도 당하는데. 이건 왜놈의 때보다 더 못된 놈이야.   그래서 내가 지금 건강을 위해서 애쓰는 건 해치는 사람이 많은 속에서 시작을 해놓으면 그 해치는 사람이 없어지는 시간도 와.   그 옛날에 맹자님도 ‘일설거주독여송왕하(一薛居住獨如宋王何)하오.’ 설거주 암만 훌륭해도 송나라 왕을 승을 만들 수 없다 이거라. 그 밑에 반대파가 전부 있으니까.  
    인산의학자연건강법
  •       백혈병 합병증 - 급성폐렴 대책   그러구 그 다음에는 또 뭐이냐? 이 화공약으로 피해, 아까 그 독사다 뭐 지네다 이뤄지는 거 있구, 또 뭐이냐? 백혈병을 내가 지금, 내 평생에 못 고친 일이 없었는데, 지금 와서 왜 겁이 나느냐? 한마디 잘못하면 늙은이가 미쳤다고 하지 않으면 망령이라구 한다. 이건 늙은 사람한테는 문자가 붙어 있는 거라.   그도 이젠 늙더니 망령 부리더라. 술을 많이 먹으면 주정한다는 건, 점잖으면 몰라두 술 먹고 잔소리만 하면 주정이라고 한다.     그러면 늙은 사람이 일러주는 건 까딱하면 망령, 그렇지 않으면 미쳤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은 젊은 세대가 아니구 머리가 흐려 가는 이때에 함부로 말하긴 힘드나 내가 오늘까지 심장병, 내게 와 죽은 사람 하나두 없구. 백혈병, 죽은 사람 오늘까지 죽은 사람 없어, 이런데. 지금 어려운 여건이 많이 있다. 뭐이냐?     나이 많은 양반, 나이 80살이 돼 오는 분들이 백혈병으로 합병증이 옵니다. 그건 반드시 급성폐렴이 와요. 그래 가지구 급성폐렴으로 가구 마는데 그러면 나는 아초[애초]에 백혈병을 고칠 때에 급성폐렴에 대한 예방을 귀신같이 안하면 안된다.     그래서 그 예방은 충분할 거요. 그래서 지금두 어린 애기들 급성폐렴으로 죽을 땐 만능의 요법을 알구 있지만, 요 일전에두 여러 사람이 백혈병으로 죽어 가는 애기가 이 유명한 종합병원에서 모두 죽어 가는 거요.     그 부모들이 어디서 알구 쫓아와서 울고불고 사정하는 사람들 여럿 중에, 그 중에 시간을 다투는 급성폐렴이 있어.   병원에선 “오늘 넘기지 못하는 데 왜 빨리 퇴원 안하느냐?” 하니 퇴원이 문제 아니라 우선 생명을 구할 욕심으로 밤중에 내게 달려와서 문을 밤새 뚜드리기 매련이다. 그래 “이거 웬일이냐?” 하니까 “나도 이제는 말년이다. 아무리 상사람이래두 늙으면 별 수 없다. 근데 왜 이렇게 못살게 구느냐” 하니까 그 사정 이야길 해.     그래 들어오라고 해서 지금 그럼 빨리 쫓아 올라가서 이렇게 해라. 여기 지금 위생병원 앞에 휘경동에 기름 짜는 집이 있어요.   그 기름집만 내가 그 급성백혈을 고치는 기름 짜는 법을 알아요. 그래서 거게 가서 그렇게 빨리 짜 가지고 가 멕여라 하니 새벽에 그 애가 나았어요. 그래서 그 후에 내려와서 “깨끗이 나았습니다.” 하는 얘길 해요.     그러면 이렇게 급성백혈에 급성폐렴에 급성결핵에 세 가지다 이거라.   어린 애가 그런 세 가지에 걸려 가지고 숨넘어가는데, 이것이 급성폐렴을 고치면 급성백혈은 좋은 약을 먹었으니 머리가 숙이지만, 급성결핵은 급성폐렴 고치는 약은 백발백중이라.     이래 가지고 애기가 셋을 살린 것이 이 근자(近者)의 일인데, 그래서 “너 주소 성명을 적어 둬라. 내게 와서 전화로래도 어디서 전화 걸려 오면 서울 아무데 가면 이런 애들 있구 이런 애들 고친 부모 있으니 여게 가서 물어 보면 잘 알려 주니라. 그거 내게 와서 신세를 볶아 주면 어떻게 되느냐?” 그래서 주소를 좀 적어 둔 거 있어요.     그래서 이런 일이 계속되면 그런 사람들이 많이 알아 가지고 거게 가서 물어라. 나보다가 직접 경험자 아니냐, 그런 말을 해 가지구 앞으로 나도 좀 편하게 살아야겠다 이거야.   또 각종 암(癌)도 잘 나은 사람들, 완쾌한 사람들이 같은 혈액형이면 쫓아가서 물으면 잘 일러주니라.    전화가 밤을 자지 않구 와요. 그러니 그런 데다 일러줘야 하는데, 그런 데다 연결시키지 않으면 결국엔 내게 와서 괴롭혀.   내가 지금 그런 괴로움을 받구서 신세가 편하게 살 수 있느냐 하면 뭐인가 조금 불편한 점이 아직은 없다고 한다는 건 나두 과한 이야기겠지. 조금 괴로움이 있어요.     그래서 앞으론 많은 사람이 죽어 가면서 그 중에 기적으로 또 많은 사람이 살았는데, 그 사람들 주소 성명 전화번호를 알아 가지구 그쪽으로 이제는 연결해 줄까 하니까.     나두 꾀가 나는 거라. 꾀라는 건 뭐이냐? 약(弱)한 데서 오는 거라. 나두 젊어서 튼튼하면 밤을 새워 가면서 자신 있는데, 약해 들어오니까 꾀가 있어. 꾀를 앞세우지 않고는 어떻게 하겠느냐 하는 거라. 그래 여러분 앞에두 그 꾀를 부린다는 말이 지금 나와요.  
    인산의학기타질환/질병
  • ▧ ▧ 백혈병 ▨ ▨
      백혈병의 원인 백혈병은 현대의학상 가장 고치기 어려운 질병 중의 하나이다. 백혈병은 곧, 비선(脾腺)으로부터 피를 흡수하는 간(肝)의 혈색소(血色素), 조직신경의 색소(色素)가 고갈(枯渴)됨으로 인하여 피가 점점 줄어드는 병을 말한다. 간의 혈색소 조직신경에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이상이 생기면 색소조직이 무너지게 된다. 따라서 각 조직체가 각자 맡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므로 피는 수분(水分)으로 변하여 점차 줄게 된다. 이는 호흡으로 들어오는 공간 공기중의 전분이 췌장에서 음식물 중의 전분과 합성되어 체내에서 이용되는데 재생불량성 빈혈과 각종 백혈병은 이 전분의 체내 합성 작용이 불완전하여 오는 것이니 공기중 전분의 체내 합성 부족증이다. 백혈병은 폐와 간의 혈소가 없어지는 병이요, 적혈과 백혈의 균형이 깨어지는 병이니 그 원인은 물, 공기, 식품의 화공약독에 있다. 또 피부에 닿는 화학섬유의 정전기와 각종 유해전자파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먹고 입고 자고 살아가는 모든 의식주가 발암물질이다. 사람들은 석유문명 속에 있는 모든 물질이 전부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현대의학이 하나하나 밝혀내는 발암물질만이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백혈병의 병리 핏속에는 청(靑)∙황(黃)∙적(赤)∙백(白)∙흑(黑)의 5색소(色素)가 있다. 그런데 어떤 원인에 의해 피의 청색소(靑色素)를 주관하는 간신경(肝神經)에 이상이 생기면 핏속의 청색소가 줄게 되고, 황색소(黃色素)를 주관하는 비신경(脾神經)에 이상이 생기면 황색소가, 적색소(赤色素)를 주관하는 심장신경(心腸神經)에 이상이 생기면 적색소가, 백색소(白色素)를 주관하는 폐신경(肺神經)에 이상이 생기면 백색소가, 흑색소(黑色素)를 주관하는 콩팥(腎)에 이상이 생기면 흑색소가 각각 줄어들게 된다. 핏속의 5색소간의 균형이 깨어지면서 순색(純色)으로 고루 갖춰지지 못하고 이 가운데 몇 가지 색소가 줄어들게 되면 피는 얼룩이 지게 된다. 이러한 피의 얼룩이 피부에 반점으로 나타나는 것을 양성(陽性) 백혈병,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음성(陰性)백혈병이라고 한다. 세분화하면 백혈병은 5종이다. 간염성, 간경화성, 골수성, 임파성, 간암성 이렇게 5종이다. 또 백혈병이 10명이면 3명이 간에서 오고, 10명에서 7명은 폐에서 온다. 음성백혈병은 급속히 피가 고갈(枯渴)되어 가는 급성백혈병으로 피를 계속 수혈해 주어도 다소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얼마 못가 사망하게 되는 무서운 병이다. 보통 백혈병이라고 함은 이를 지칭하는 것이다. 음성백혈병은 선천적 원인, 곧 혈색소 조직 부전(不全)에 의하여 발병된다. 다시 말하여 본래부터 혈색소 조직신경이 온전하게 이루어져 있지 못한 사람들이 음성백혈병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음성백혈병이 시작될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몇 가지 변화는 첫째 입맛이 떨어지고 둘째 피곤해지며 셋째 공연히 슬퍼지는 등의 증상이다. 증세 없이 병이 시작되는 예도 있다. 양성백혈병은 가끔 반점이 나타나는 이외에 별 뚜렷한 증세가 없으므로 특히 노련한 경험자가 아니면 좀처럼 발견하기 어려운 병이다( 건강한 사람이 몸이나 얼굴에 희끄무레한 반점이 있었다 없었다 하면 5년이나 10년 뒤에 백혈병이 발병한다. 반점이 생기는 사람은 백혈이 오기 전에 막아야 한다. 반점은 백혈의 전조증상이다). 병이 시작한지 오랜 세월이 지나 악화되면 각종 암(癌)∙중풍 등 여러 합병증이 일어나 사망하게 되는 만성백혈병으로서 환자들은 대개 모르고 지낸다. 반점은 가려워서 긁으면 나타나기도 하고 저절로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도 한다. 양성백혈병도 대부분 선천성 원인에 의하여 발병하나 혹 후천성 원인, 곧 타박상∙추락상∙교통사고∙ 산후(産後)탈 등 죽은피가 혈색소 조직신경을 병들게 함으로서 발병하기도 한다. 백혈병의 병리 벌나무[봉목(蜂木)]를 써야 하나 희귀하여 구할 수 없으므로 노나무[재백목(梓白木)]를 대용한다. 자백목(노나무)이나 개오동나무도 세성의 정기가 왕래하지만 봉목(벌나무)에 비해서 희미하며 형혹성의 독기 즉, 불그르스름한 기운이 함께 왕래하므로 약용하면 체질에 따라서 약간의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봉목(蜂木)은 부작용이 없어 간의 난치병 치료에 주장약이 된다. 자백목은 간(肝)의 독소를 제거하며 약화(弱化), 또는 파괴된 간의 원색소(原色素)를 복구시켜 준다. 피곤당뇨도 다소 치료 효과가 있고 간경화 및 여러 가지 간병에 쓰인다. 주의할 것은 인삼(人蔘)∙부자(附子)를 써봐서 부작용이 생기는 진성(眞性) O형인 사람, 곧 소양인(少陽人)은 노나무를 복용하면 위험하므로 노나무의 양을 줄이거나 제외하고 쓴다. 백혈병(白血病)에는 자백목(梓白木)과 유근피(楡根皮)와 인진(茵蔯)쑥을 주장으로 한 처방을 하여야 하며 "사리藥간장"을 수시로 복용해야 한다. *백혈병에 걸린 환자가 급성폐렴이 발생한 경우에는 호도를 찹쌀밥에 3번 찐 후에 기름을 짜서 만든 "호도유"를 복용하면 위험한 시기를 넘길 수가 있다.
    인산의학기타질환/질병

한의학 총 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백복신과 신선
    신선만이 먹고 살았다는 백복신은 일명 神木이라 하며 곧 心木이라고 부른다. 신선이 먹는 음식이니 우리도 먹으면 신선이 될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면 약을 잘먹어 신선이 된다는 얘기인가? 이것은 하나의 넌센스이다. 옛사람들의 말은 항상 깊은 뜻을 지니고 있다. 백복신이란 소나무의 뿌리에 나타나는 일종의 덩어리를 말하는데, 흔히 '뿌리혹 박테리아'라고 불리우고 있다. 여하튼 기이한 물건이 생겨나서 인간에게 이익을 주는 약이니 동의보감의 약성을 일단 참고해 보자. '茯神補心善鎭驚 恍惚健忘怒喪情'이라 하여 백복신은 심장을 보하며 놀래고 가슴 두근거리는 병이나, 황홀해지거나, 건망증이나 분노의 감정을 잘 진정시킨다는 말이다. 복신이라는 물건이 신기하다면 복신을 내어놓는 소나무란 놈이 더욱 신기하지 않은가? 소나무란 놈의 신기한 덕성이란 이루말할 수가 없다. 옛말에 '소나무 푸르른 것은 백설이 뒤덮힌 겨울에야 드러나고, 대장부의 남몰래 닦은 도는 난세에 더욱 빛이 난다'는 말이 있다. 여름철에 다 푸르른 것은 그 우열을 가릴 수가 없다. 오히려 소나무보다 더욱 그 빛깔을 아름답게 뽐내는 나무들이 많다. 묵묵히 스스로의 분수대로 지켜나가는 소나무지만, 모든 나무들이 다 죽은 혹독한 겨울철에도 그의 생명을 찬란히 구가하지 않는가? 이 소나무의 덕성은 사시에 모두 미친다. 그러므로 춘하추동의 四氣가 모두 엉겨있다. 봄의 덕은 만물을 골고루 생산시켜 싹을 틔워주듯이 私心이 없으니 부처님의 사무량심 중 慈心에 해당하며, 여름의 덕은 모두 개화시켜 자라나게 하고 만물과 더불어 그 축복을 나누니 喜心에 해당한다. 더불어 남의 기쁨을 즐거워함이니 곧 희심이요, 만물을 공평하게 생성시키니 자애로운 마음이 아니겠는가? 가을의 덕은 결실을 맺어 수확을 하여 거두니 이는 겸허하게 자신의 소유를 내던지고 기꺼이 죽음으로써 후손의 번영을 기대하는 捨心이니 죽되 사는 것이다. 겨울의 덕은 감추고 보호하고 저장하는 마음이니, 고통받는 자를 쉬게 하고 병든 자를 보호하여 힘을 저축하게 도우는 悲心이다. 남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같이 하여 그 고통을 제거할 것을 서원하는 보살의 서원이 곧 비심이 아니겠는가? 소나무는 이와 같이 사시의 덕을 모두 지니고서도 자랑하지 아니하면서, 그 뿌리에는 신선의 덕을 쌓아놓아 신선을 도운다. 복신의 맛은 아무 맛이 없는 유별난 특징인데, 실로 무미의 맛을 터득한 나무이므로 신목이라 불리우는 것이다. 마음은 비워야만 천지를 포용할 수 있고, 맛은 맛이 없어야만 만가지 맛을 느낄 수 있다. 허공은 비어서 천지 일월과 별들의 운행을 담고 있듯이, 맛이 없는 맛은 맛중의 맛이다. 그러나 복신이 신기하다지만 그 신기함의 성품을 판단한 인간의 지혜는 더욱 신기하지 않는가? 잘 놀래지 않고 두근거리지 않고, 쉽게 도취하여 황홀해지지 않고 잘 잊지 않고, 분노하지 않는 사람만이 이러한 지혜를 가질 수 있는데 과연 쉬운 일일까? 놀라지 않으려면 안정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안정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항상 복신이라는 약의 신세만 질 수는 없지 않는가? 쉽게 황홀해 하는 약점은 도취이다. 도취감은 자신을 쉽게 내던지는 무력함이다. 두려움 없는 사람만이 도취하지 않는다. 술이나 마약이 도취를 불러일으켜서 잠깐의 근심이나 공포를 잊게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된다. 분노는 욕심을 근거로 한다. 그러니 이런 등등의 문제를 과연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보다 근원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깊숙이 파고 들어가지 않으면, 결국 약의 신세를 질 수밖에 없다.
    한의학본초약제

교류의 장 총 23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인산 김일훈 선생 탄신(誕辰)시     일생(一生) 예견(豫見)한 백구시(百句詩)                                                         지은이 : 김만득(金萬得)           雁行八九 (안행팔구)          一雁獨飛 (일안독비)         每逢三災 (매봉삼재)          堂上有憂 (당상유우)         靑山夜月 (청산야월)          杜鵑作伴 (두견작반)         庭蘭之實 (정란지실)          其實五六 (기실오육)         左右財星 (좌우재성)          書中有祿 (서중유록)         驛馬得祿 (역마득록)          離鄕大吉 (이향대길)         活人有德 (활인유덕)          龍門貴客 (용문귀객)         九十之年 (구십지년)          玉輪朝天 (옥륜조천)         半萬史中 (반만사중)          天降彌勒 (천강미륵)          塵土佛生 (진토불생)          識者其誰 (식자기수)         龍樹開華 (용수개화)          東方瑞光 (동방서광)         慈悲得道 (자비득도)          名傳千秋 (명전천추)         .................................................................................................        해석:             기러기 8~9마리가 날아가다가             그중 하나가 홀로 행렬을 떠났다.             매양 재난을 만나             어버이에 근심 끼치고···             푸른산 달빛에 두견 벗삼으니             뜨락의 난실(蘭實)은 대여섯             좌우에 재성(財星) 있으니             글 가운데 녹이 있을 것이요             역마에 녹이 있으니             고향을 뜨면 크게 길하리라             사람을 살려 덕을 베푸니             나라의 귀한 손이요             아흔 살 무렵에는             옥수레 타고 하늘 나라 가리             반만년 역사의 땅에             하늘은 미륵을 보내었고녀             풍진 세상에 부처 났으니             알아보는 이 그 누구더냐             용수(龍樹)에 꽃 피니             동방에 상서로운 빛 발하고             자비로써 길을 여니             그 이름, 천후에 전해지리.            ..........................................................       참고 :         4언(四言) 1백구(一百句)에 달하는 장시(長詩)로서 아이의 일생을 예견한 내용         인산 김일훈 선생 탄신일: 1909년 음력 3월25일 밤10시쯤         사주 : 기유(己酉)년 , 기사(己巳)월 ,갑술(甲戌)일 , 을해(乙亥)시         이상(以上)은 인산 김일훈 선생 탄신 112주년을 맞이하여         “신의(神醫) 김일훈” 40쪽 발췌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교류의장일천편의 시
  • 태백산과 단군사적에 관한 단상
                    태백산과 단군사적에 관한 斷想                                                             김 윤 우/인산산악회장· 전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   머리말    우리나라 명산 중에서 본명 또는 그 일명으로서 고대시절부터 태백산으로 불리어진 산으로는 한반도 북계의 백두산과 평안북도 영변 일대의 묘향산과 강원도의 태백산을 들 수 있다.   상고시대의 태백산은 국조 단군(檀君)의 발상지로서 단군사화에 등장하는 우리 민족의 성산(聖山)이다. 때문에 위의 세 산 모두 상고시대 단군사적과 관련되어 언급되어지고 있는 산들이다.    이 중 백두산과 묘향산은 단군의 발상지로 언급되고 있고, 강원도 태백산은 단군이 천제를 올리던 제의처(祭儀處)의 한 산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단군의 발상지로서의 민족의 성산은 위의 세 산 중 한 산일 것이므로 이 중 어느 산이 과연 상고시대 단군사화에 등장하는 태백산일지 그 사실여부가 문제시된다. 그리고 강원도 태백산도 조선시대까지의 문헌사료상에서는 단군시대의 제의처로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바 없어 현재의 태백산정에 있는 천제단(天祭壇)도 과연 단군시대의 제단유적인지 문제가 제기된다.    필자는 일찍부터 위에 제기되는 문제점에 관하여 탐구적인 관심을 가져왔고, 그러한 관심의 일환으로 북한의 묘향산은 어쩔 수 없어 올라보지 못하였으나, 백두산 천지에도 올라 보았고, 강원 태백산에도 두어 차례 올라가 본적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이에 관한 문헌자료도 틈틈이 조금씩 살펴본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단군사적과 관련한 태백산에 대하여 그동안 틈틈이 살펴보면서 느낀 단편적인 생각들을 정리하면서 고금을 통하여 일관되게 태백산으로 불리어오고 있는, 범상치 않은 영산의 산 이름으로 여겨질 수도 있는 강원 태백산을 중심으로 그 산 이름과, 단군사적지로서의 태백산에 관한 여러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한 번 살펴보려고 한다.   태백산의 산봉 이름    강원 태백산(太白山:1566.7m)은 고대부터 천제(天祭)를 지내온 민족의 영산(靈山)으로, 강원도 삼척시(三陟市) ‧ 태백시(太白市)와 정선군(旌善郡) ‧ 영월군(寧越郡) 및 경북 영주시(榮州市)와 봉화군(奉化郡)에 걸쳐 큰 산세를 이루고 있는 명산이다. 백두대간의 등줄기를 형성하며 큰 덩치를 지니고 주변 지역 모든 산의 제일 큰 어른처럼 자리하고 있는 장대한 산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봉화조에 의하면, 일찍이 고려시대 최선(崔詵)은 예안(禮安) 용수사기(龍壽寺記)에서 그러한 모습의 태백산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천하의 명산은 삼한(三韓)에 많고, 삼한의 명승은 동남쪽이 가장 뛰어나며, 동남쪽의 거산(巨山)으로는 태백을 으뜸으로 일컫는다”    태백산이 얼마나 큰 산세를 이루고 있는 산인지는 강원도 정선의 정암사(淨岩寺)와 경북 봉화 ‧ 영주에 자리한 각화사(覺華寺), 부석사(浮石寺) 등 신라 명찰들의 일주문 현판에 그 주산을 ‘太白山’으로 표기하고 있는 예에도 잘 드러나 있다. 또 《삼국사기(三國史記)》 제사지(祭祀志)에서 태백산의 소재처를 내이군(奈已郡:현 榮州 일원)이라 언급하고 있는 것과, 《여지승람》에서 경상도 안동(安東) ․ 봉화 및 강원도 삼척의 관내 지역의 산으로서 태백산을 언급하고 있는 예에도 잘 나타나 있다.    ‘太白山’이란 산 이름에 대해서는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지행록(地行錄)》에 의하면 “산마루에 하얀 자갈이 마치 눈이 쌓인 듯 깔려 있기 때문에 ‘太白’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하였다. 후대의 김정호(金正浩:1804~1866?)도 “산이 다 하얀 자갈들이라, 이를 바라보면 마치 흰 눈이 쌓여 있는 것 같다. 산 이름 ‘태백’은 이 때문이다.(《대동지지》안동조)”라고 하여, 같은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이들보다 앞서 일찍이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이 언급한 견해로, 미수의 <태백산기(太白山記)>에 의하면, 그 산봉우리를 문수봉(文殊峯)으로 언급하고 있다. 지금의 문수봉 산정의 너덜지대 위에는 현금에 이르러 쌓은 삼각형 돌탑이 있는데, 미수가 언급한 문수봉은 태백산의 가장 높고 큰 봉우리로, 북쪽으로 두타산 ․ 보현산(선자령 일대의 산)과 이어져 있다고 한 것을 보면 현 문수봉(1515m)이 아닌, 영봉(1561m)을 지칭한 것이 아닐까 한다. 태백산의 영봉 또는 장군봉(1567m)도 근대에 제단을 쌓기 이전의 조선시대에는 영봉 남동쪽의 문수봉과 같이 큰 돌밭지대를 이루고 있지 않았을까 한다.   그러나 ‘太白山’은 대체로 ‘크게 밝은 산’이란 의미의 ‘한 밝뫼’ 또는 ‘한밝달’을 소리옮김, 뜻옮김하여 혼용표기한 것으로 본다. ‘한밝달’은 ‘한백달 →한배달’로 전음(轉音)되어 ‘한민족’ ‧ ‘배달민족’과 같이 우리 민족을 상징적으로 일컫는 민족 이름이 되었다. 예부터 우리 민족은 태양을 숭배하는 ‘밝은 민족’으로 하늘에 제사(祭祀)지내는 풍습이 있었으며, 그 제사지내는 산을 ‘밝은 산[白山]’이라 하였다. ‘밝은 산’ 중에서도 가장 크게 밝은 산인 한밝뫼가 바로 태백산인 것이다.    태백산의 최고봉은 현재 장군봉(1566.7m)이라 일컫고 있고, 천왕단이 있는 영봉(靈峯:1560.6m), 그리고 그 남쪽의 부소봉(1546.5m)과 부소봉 동쪽의 문수봉(1517m)이 이 산의 대표적인 봉우리들이다.  그런데 태백산 북쪽의 함백산(1572.9m) 등 더 높은 봉우리들이 태백산권에 자리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재 천제단이 있는 산봉이 태백산의 주봉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보면 옛날 선인들은 지금과 같이 정밀하게 산 높이를 잴 수 있던 시절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곧 이만부의 《지행록》에 의하면, 태백산의 산봉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문수(文殊) ․ 대박(大朴) ․삼태(三台) ․ 우보(牛甫) ․ 우검(虞檢) ․ 마라읍(摩羅邑:말읍)의 봉우리들이 6 ․ 7백리를 울창하게 서리어 있다.”    위의 대박봉 곧 대박산(大朴山)은 ‘한밝달(한밝산)’의 차용표기로, 전음(轉音)되어 현재는 ‘함백산(咸白山:1572.9m)’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함백산 북서쪽 기슭에는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의 하나가 자리하고 있는,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14년(645)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한 정암사(淨岩寺)가 있다. 이 절로 인해 함백산은 《동국여지승람》 정선군조에 의하면, 정암산(淨岩山)으로도 불리었고, 《삼국유사》의 대산월정사 오류성중(臺山月精寺五類聖衆)조에 의하면, 묘범산(妙梵山)으로도 불리었다.  태백산은 또 《택리지(擇里誌)》의 복거총론(卜居總論) 산수(山水)조에 의하면 작약봉(芍藥峯)으로도 불리었다. 또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에 의하면, 함박봉 곧 함박산(含朴山) 속칭 모란봉(牧丹峯)으로도 불리어졌다.    《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 〮《향약집성방언해(鄕藥集成方諺解)》에 의하면, 작약(芍藥)의 향명(鄕名)이 ‘大朴花(대박화:함박곳→함박꽃)라 하였다. 그렇다면 지금의 함백산은 ‘한밝달’이 한박산[大朴山]→함박산→함백산으로 전음되어 불리어지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또 《동국명산기》에 의하면, ‘함박(含朴)’은 속칭 ‘모란[牡丹]’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모란(牧丹:牡丹)’ 은 곧 작약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이므로 조선시대에도 함박을 속칭 ‘모란’ 이라고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함백산이 또한 ‘모란산’ 또는 ‘모란봉’ 으로도 불리어 진 것으로 보인다.  또 태백산사고지(太白山史庫址)와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각화사(覺華寺)가 자리한 태백산 자락의 산봉우리는 각화산(覺華山:1176.7m), 의상조사(義湘祖師)가 창건한 부석사(浮石寺)가 자리한 태백산 줄기의 산봉우리는 봉황산(鳳凰山)으로 불리어졌다.    태백산은 고금을 통하여 일관되게 ‘태백산’으로 불리어 왔으나, <정암사사적기(淨巖寺事蹟記)>에 의하면 그 일명으로서 ‘대여산(黛輿山)’이라 일컬은 예도 있다.   태백산의 제의사적    예부터 우리민족은 가장 크게 밝은 산인 한밝뫼 곧 태백산을 신성한 곳으로 여기고 그 꼭대기에 제단(祭壇)을 쌓고 봄 ‧ 가을로 하늘에 제사지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이미 일성왕(逸聖王) 5년(138) 10월에 왕이 북방에 순행(巡行)하여 태백산에 제사지낸 일이 있고, 기림왕(基臨王) 3년(300) 3월에는 우두주(牛頭州:춘천)에 이르러 태백산에 망제(望祭)를 지낸 일이 있다.  또 《삼국사기》 제사지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태백산(太白山)을 사전(祀典)에 올리고 오악(五岳)의 하나인 북악(北岳)으로 삼아 중사(中祀)를 지내왔다. 이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이미 2세기 초엽부터 태백산에 천제(天祭) 또는 산신제(山神祭)를 지내왔음을 살필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 삼척부(三陟府} 태백산사(太白山祠)조에 의하면, 그러한 제의(祭儀)의 전통은 조선시대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그 내용을 조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태백산사는 산꼭대기에 있는데, 세간에서 천왕당(天王堂)이라 한다. 본도(本道:강원도) 및 경상도에서 이 산 곁 고을 사람들이 봄 ‧ 가을로 이곳에서 제사지내고, 신좌(神座) 앞에 소를 매어 두고는 갑자기 뒤도 돌아보지 않고 달아난다. 만약에 이를 돌아볼 것 같으면 신(神)이 불공(不恭) 한 것을 알고 죄를 준다고 한다. 사흘이 지난 다음 부(府)에서 그 소를 거두어 이용하는데, 이러한 풍속을 이름하여 ‘퇴우(退牛)’라고 한다.”    위의 태백산제에 관한 내용을 보면, 상고시대 이후 고대시절에는 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온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으나, 이후 통일신라시대로 내려오면서 태백산을 사전(祀典)에 올리고 오악의 하나로 삼아 중사를 지내게 된 이후로는 산신제(山神祭)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곧 《삼국사기》 제사지는 신라 때 전국의 명산대천신(名山大川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명산대천을 사전(祀典)에 올려 언급한 것이므로, 신라 때 중사를 지내던 태백산은 곧 태백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전국 명산의 하나로서 언급된 것이라 하겠다.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산신제가 음사(淫祠)에 관한 제의의 풍속으로까지 변질되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허목(許穆:1595~1682)의 《기언(記言) 권37》, 척주기사(陟州記事) 퇴우(退牛)조에 의하면, 그러한 미신의 폐단을 보다 못한 당시의 산승(山僧) 충학(沖學)이 태백산사를 불태워 버렸으며, 이후로는 이곳 산신에게 소를 바치는 일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다산(茶山)의 《목민심서(牧民心書)》, 예전육조(禮典六條) 제사(祭祀)조에 의하면, 이보다 조금 앞선 시기에도 영남관찰사(嶺南觀察使)로 있던 김치(金緻:1577~1625)에 의해 태백산 신사(太白山神祠)가 미신적 폐단으로 인해 헐린 일이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여지승람》의 태백산사 이야기는 성현(成俔:1439~1504)의 《허백당집(虛白堂集) 권12》 신당퇴우설(神堂退牛說)에도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여지승람》의 내용은 아마도 이를 참조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던 풍속이 민간 풍속으로나마 겨우 명맥을 유지하며 전래되어 왔을지는 모르나, 그 제의의 풍속이 현대까지 이어왔다는 정사(正史)상의 분명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단군(檀君)을 숭상하는 대종교와 같은 종교적 신앙 차원에서, 그리고 민족주의적 차원에서 현대에 이르러 다시 부활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태백산 정상부 영봉(靈峯:1560.6m) 위에는 자연석 녹니편마암으로 쌓은, 둘레 27.5m,높이 2.4m, 좌 ․ 우폭 7.36m, 전 ․ 후폭 8.26m로 약간 타원형으로 된 20평 가량의 천제단(天祭壇)인 천왕단(天王壇)이 자리하고 있다. 위쪽은 원형이고 아래쪽은 네모꼴인데, 이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사상을 나타낸 구도이다. 그리고 앞쪽에 ‘天祭壇(천제단)’이라 쓴 석축 제단 위 중앙에 잘 다듬어지지 않은 투박한 한글 필체로 ‘한배검’이라 써서 새기고 하얗게 칠한 자연석 위패가 세워져 있다.   이는 대종교 교인들이 ‘한배달의 임검’ 또는 ‘한배달의 신(神)’이란 의미로 쓴 국조 단군(檀君)의 위패인 것으로 보인다. 이 비석과 비가 세워져 있는 지금의 모습과 같은 제단은 본래는 없었던 것으로, 예전에는 석단이 9단이라 하여 ‘구단탑(九段塔)’ 또는 ‘구령탑(九靈塔)’으로 불리던 것이 1955년 국군이 무장공비 토벌을 위해 제단 앞쪽에 헬기장을 닦으면서 헌 것을, 1960년대 후반 경에 대종교의 교인 우성조(禹聖祚) 옹 등이 국조 단군에게 제사를 올리기 위해 개축하고 세운 것이라 전한다.  제단 전면에 천제단이라 쓴 큰 글씨 아래쪽에 ‘대종교 태백시지부(大倧敎 太白市支部)’라 써 놓은 것을 보면 대종교 태백시지부의 교인들도 제단 개축에 참여한 바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곳 영봉 북쪽 상봉인 장군봉에도 사각형으로 된 장군단(將軍壇)이란 천제단이 있고, 영봉 남쪽 아래쪽에도 하단(下壇)이라 일컫는 천제단이 자리하고 있다.    이들 태백산 천제단, 특히 영봉의 천왕단이 현대에 와서는 마치 상고시대 단군의 유적지처럼 인식되기도 하나, 고대이래의 정사(正史)상의 기록이나 역대 지리지상에서 이곳 천제단을 명확히 언급한 예는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아마도 현금에 이르러 국조 단군을 숭상하는 이들이 민족종교적이며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예부터 천제를 지내온 강화도 마리산[摩尼山]의 참성단(塹城壇) 구조를 모방하여 축조한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신라 박제상(朴堤上:363~419)의 저술이 영해박씨(寧海朴氏) 문중에 비전되어 오다가 실전(失傳)된 것을 1953년에 박금(朴錦:1895~?)씨가 예전에 본 기억을 되살려 재생하였다는 《부도지(符都誌)》 따위에 다음과 같은, 유사한 제단의 모습을 언급한 내용이 보인다.   “혁거세씨(赫居世氏)는 천성은 신(神)과 같고 지혜는 성인(聖人)과 같았다…능히 여러 부족을 통솔하여 선세(先世)의 도를 행하며 제시(祭市)의 법을 부흥하고, 남태백산(南太白山)에 천부소도(天符小都)를 건설하였다. 중대(中臺)에 천부단(天符壇)을 축조하고 동서남북의 4대(臺)에 보단(堡壇)을 설치하여 계불(禊祓)의 의식을 행하였다.”    이에 의하면, 태백산 천제단이 비록 단군시대의 문화유적은 아니라 하더라도 일찍이 신라 초에 축조된 천제단의 유적지로 전해온 것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신뢰할만한 금석문 사료나 정사류 문헌 사료상에서는 그러한 천제단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세종실록지리지》․ 《여지승람》 등의 삼척조 기록에 태백산정의 태백산사(太白山祠)의 이름을 ‘태백 천왕당(太伯 天王堂)’ 또는 ‘천왕당’이라고도 칭하였던 것을 보면 본래는 이곳이 고대시절부터 천제를 올리던 장소였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는 있다고 본다.    위의 자료보다 좀더 명확한 단군사적지의 기록으로 오해할 수도 있는 기록은 다음과 같은, 대종교의 2세 교주 김교헌(金敎獻:1868~1923 )과 박은식(朴殷植:1859~1925) 유근(柳瑾:1861~1921) 등 대종교의 석학들이 공동 집필한 것으로 일컬어지는 《단조사고(檀祖事攷)》 외편, 봉화유태백산사(奉化有太白山祠)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수기언(眉叟記言)에 이르기를 ‘태백산(太白山)에 단군사(檀君祠)가 있다.’(眉叟記言曰, 太白有檀君祠)라고 하였다” 위의 기록에 의하면 미수 선생이 마치 강원 태백산에 단군사가 있었다고 말한 것처럼 단언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미수기언》의 원전자료를 보면 위의 인용문은 원전의 산 이름 표기까지도 달리한, 역사왜곡의 소지가 있는 단장취의(斷章取義)적인 인용문이다. 곧 《미수기언》, 권32, 단군세가(檀君世家)조에 의하면, “태백산과 아사달산에는 다 단군사가 있다.(泰伯阿斯達, 皆有檀君祠)”라 하였다. 여기서의 태백산은 이어 언급한 아사달산과 함께 단군사화상의 상고시대 산 이름, 곧 묘향산의 고대 이름으로도 볼 수 있는 태백산을 이른 것이지 꼭 강원 태백산을 지칭한 것은 결코 아니다.   이 점은 《미수기언》의 단군세가를 끝까지 읽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이고, 또 위의 《미수기언》의 단군사 기록과 동일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이만부의 《지행록》 구월산조와 태백산조 기록 및 이종휘(李種徽:1731~?)의 《수산집(修山集)》 권12의 신사지(神事志) 기록을 참조해 보면 보다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내용이다.  또 미수선생의 태백산기(太白山記:미수기언, 권28)에도 강원 태백산의 산상에는 태백사(太白祠)가 있었다고만 언급하고, 고대의 단군유적이나 또는 어떠한 제단유적이 있었다는 말은 한 마디도 언급한 바 없으며, 또한 태백사가 단군시대 제의처로서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한 마디도 언급한 바 없다.    태백산 동북쪽 기슭 태백시 소도동 당골에는 또 단군의 화상을 봉안하고 해마다 개천절에 단군제를 지내고 있는 단군성전(檀君聖殿)이 자리하고 있다. 이 또한 1975년에 태백읍장 전대연의 후원으로 유지들이 창립한 현대 건축물일 뿐이다.  다만 이 일대의 ‘소도동’과 ‘당골’이라는, 범상치 않은 땅이름이 조금 주목된다. 여지도서 강원도 삼척부, 상장성면(上長省面)조에 의하면, 소도동과 같은 ‘소도리(所道里)’란 땅이름이 조선시대에도 존속해오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이 후대에 인위적으로 행해진 단순한 땅이름의 이동일지도 모르지만, 황해도 구월산 삼성사(三聖祠)가 있던 곳 입구에도 ‘소도동(所都洞)”이란 땅이름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단군시대의 문화적 땅이름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 측면도 없지 아니하다.    또는 삼국지(三國志) 위지, 동이전 마한조에 의하면, 마한(馬韓)에 속한 여러 나라에 ‘소도(蘇塗)’라는 별읍(別邑)을 두고서 그곳에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귀신(천신?)을 섬기었다는, 삼한시대의 신성한 제의처가 있었던 곳에서 유래한 땅이름으로 볼 수 있는 측면도 없지 아니하다. ‘당골’이란 땅이름도 그러한 귀신을 섬기던 무속인들이 당집을 짓고 많이 머물던 골짜기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속전(俗傳)에 의하면, 태백산신은 조선조의 단종대왕(端宗大王)이라고 한다. 곧 태백산 부근 지역 영월에서 승하한 단종의 혼령이 백마를 타고 태백산으로 와서 산신이 되었으며, 당시 태백산 부근의 삼척 ․ 영월 ․ 봉화 등지의 백성들에게 단종이 현몽하였다고 전한다.  현재 태백산 천왕단이 있는 영봉(靈峯:1560.6m)에서 망경사(望鏡寺) 방면으로 300m되는 하산지점에 ‘조선국 태백산단종대왕지비’라고 쓴 비석을 안치한 단종비각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곧 1955년에 망경사에 있던 박묵암 스님의 주창에 의해 뜻있는 사람들이 비를 세우고 비각을 지어 단종이 태백산신으로 강림하였음을 기념한 것이라 한다. 이와 같이 이곳 태백산 일원에서는 상고시대 단군의 발자취와 관련한 명확한 유적은 찾아볼 수 없다.    조선시대에 태백산정에 세워져 있었던 태백산사(太白山祠) 천왕당(天王堂)은 조선시대에 음사로 지탄받아 헐리기도 하는 등 여러 차례 수난을 겪기도 하였지만, 근현대에 이르러 축조된 제단도 한국동란 이후 무장공비의 출현으로 인해 1955년 국군이 제단 앞쪽에 헬기장을 닦으면서 예전의 석단인 구단탑이 헐린 적 있고, 2008년 5월 27일에도 의정부 S교회 여목사 함모씨 무리에 의해 천제단의 상당부분이 훼손된 바 있다!   단군사적과 태백산    백두대간상의 등줄기를 이루고 있는 강원도 태백산은 고대시절부터 현금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그 주이름을 ‘태백산’이라 불러왔다. 그러나 이곳 태백산에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군의 사적과 관련한, 상고시대 이래의 명확한 유적지는 남아 있는 것이 없다. 이곳 태백산 이외에 고대시절에 ‘太白山’으로 불리었던 명산으로는 곧 우리 민족의 성산(聖山)으로 여겨지는 백두산(白頭山)과 일찍이 서산대사(西山大師)의 명산평(名山評)에 의해 우리나라 제일의 수려한 명승과 웅장한 산세를 갖추고 있는 명산으로 일컬어진 바 있는 묘향산(妙香山)이 있다.   이들 두 명산은 모두 상고시대 단군사화(檀君史話)와 관련되는 성산으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산이다. 먼저 상고시대의 태백산과 관련한 단군사화의 내용을, 《삼국유사(三國遺事)》, 고조선(古朝鮮)조에서 조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기(古記:단군고기)에 이렇게 말하였다. ‘옛날에 환인(桓因)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란 이가 있었다. 환웅은 자주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하였다. 아버지가 그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산[三危太伯山]을 내려다 보니, 그곳은 과연 인간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할만한 곳이었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어서 환웅으로 하여금 인간 세상에 내려가 이를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은 무리 3천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꼭대기에 있는 신단수(神壇樹) 밑에 내려왔는데, 이곳을 일러 신시(神市)라고 한다.” 위의 일연(一然:1206~1289)의 《삼국유사》와 비슷한 시기의 저술인, 이승휴(李承休:1224 ~1300)의 《제왕운기(帝王韻紀)》 전조선기(前朝鮮紀)에서 또 위의 내용과 관련한, 단군사화의 내용을 조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어느 누가 나라를 열었던고. 석제(釋帝)의 손자 이름은 단군(檀君)일세. 요제(堯帝)와 같은 해 무진년(戊辰年)에 나라 세워. 순(舜)을 지나 하국(夏國)까지 왕위(王位)에 계셨도다. 은(殷)나라 무정(武丁) 8년 을미년(乙未年)에, 아사달(阿斯達)에 입산(入山)하여 산신이 되었으니, 나라를 누리기를 1천 하고 28년.”   앞의 일연의 《삼국유사》 태백산주(太伯山註)에 의하면, ‘즉 태백산은 지금의 묘향산’이라 하였고, 또 이승휴의 《제왕운기》 아사달주(阿斯達註)에서는 “(아사달은)지금의 구월산(九月山)이다. 딴 이름은 궁홀(弓忽), 또는 삼위(三危)라 이름하였다. 사당(祠堂)이 아직도 있다.” 라 언급하고 있다. 그렇다면 <단군고기>에 보이는 환인이 내려다 본 인간 세상의 ‘삼위 ․ 태백산(三危太伯山)’은 바로 지금의 구월산인 삼위산과, 지금의 묘향산인 태백산이었다.  그리고 인간 세상을 크게 이롭게 할만한 이 두 곳 중 환웅이 내려가 자리잡은 부산(父山) ․ 종산(宗山)이 바로 태백산인 묘향산이요, 그 아들 단군이 도읍을 옮겨가 자리잡은 자산(子山) ․ 지산(支山)이 바로 아사달인 구월산이었던 것이다.  다만 일연은 고조선의 사적(事蹟)을 정리함에 있어서 우리의 <단군고기>와 중국의 《위서(魏書)》 따위의 사료를 종합, 참고하여 기록하다 보니 기자동래(箕子東來)로 인한 단군조선의 이동경로를 백악산(구월산) 아사달에서 장당경(藏唐京:문화)으로 옮긴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는 평양성에서 백악산 아사달로 옮긴 것을 잘못 기술한 것으로 보인다.   곧 묘향산정의 신시(神市) 시대에서 발전적 인간세계로 하산하여 옮긴 곳이 평양성이고, 조선지역으로 동래한 기자의 세력을 피해 행궁처럼 임시 궁궐을 짓고 살던 곳이 구월산 아사달이요, 이후 안정적 평화시대로 접어들어 하산하여 자리잡고 살던 곳이 바로 장당경인 것이다. 이곳에서 단군께서는 마침내 인간세계의 정치 따위 세속적 일과 욕망을 버리고 다시 구월산으로 돌아가 은거하여 산신(山神)이 되신 것이라 하겠다. 현진건(玄鎭健:1900~1941)의 <단군성적순례(檀君聖蹟巡禮)>에서는 그 단군시대의 장당경 일명 당장경(→장장평)을 답사하고서 다음과 같은 순례기를 남겼다.    “문화까지 단숨에 달려들어와 문무면 건산리(乾山里:현 신천군 관내) 동고개에 올라서니 눈앞에 평양촌(平壤村)이 보인다. 이 평양촌은 고명 당장경으로 단군께서 평양으로부터 이도하신 곳이라 전한다. 병풍같이 에둘린 구월산 연봉을 왼편으로 두고 질펀한 광야가 끝없이 열렸다……이 대평야의 한복판에 달걀의 노른자위 모양으로 평양촌이 자리를 잡았다. 지금은 수십 호 되는 한 소촌이라든가.  그러나 저 호망(浩茫)한 불고부저(不高不低)의 벌판엔 그리 많은 조영(造營)의 공(功)을 들이지 않더라도 십 수만호의 대도시를 현출함이 그리 난사가 아니리니, 성도(聖都)의 구지(舊地)로 부끄럼이 없다 할 것이다. 구도(舊都)에 끝없는 공상을 자아내다가 문득 백악의 연봉을 쳐다보매 어천(御天)하셨다는 사황봉(思皇峯:구월산의 상봉)이 벽천(碧天)을 뚫고 일순간 뚜렷이 장엄한 거용(巨容)을 나타내다가 그만 구름속으로 녹아들고 말았다.”    이들 단군사화의 삼위산과 태백산 두 산에 대해서는 그 당시 현재의 어느 산인지를 일찍이 고려시대에 일연과 이승휴 등이 분명하게 밝히고 있으나, 후대의 많은 이들이 대부분 이를 자신의 주관적 관점에 집착하여 신화적(神話的), 언어학적, 종교적, 민족주의적 관점에 의거하여 보려고만 하므로 그 사화 속에 내재된 진실성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 때문에 어떤 이는 이들 삼위산을 중국 감숙성(甘肅省) 돈황시(敦煌市)에 있는 삼위산으로 보기도 하고, 태백산을 중국 섬서성(陝西省) 미현(眉縣) 남쪽에 위치한 태백산(太白山:3767m)으로 보기까지도 한다. 그렇게 본다면 태백산과 관련한 단군사화도 한국의 역사이야기가 아닌, 중국의 역사이야기라는 말인가?   이 중에서도 중국 섬서성의 태백산을 단군의 발상지로 보는 것은 언급할 가치도 없는, 참으로 황당한 이야기이다. 필자는 2006년도 여름에 직접 이 태백산을 등산해 본 적도 있지만, 단군사화와 관련한 어떠한 일말의 단서도 보지도, 듣지도 못하였다.  물론 당시에 3500여 미터 일대까지만 오르고 정상(3767m) 일대의 3대 호수지역까지는 군사지역이고, 귀중한 약초 보전지역이라 하여 외국인에게는 등정을 불허하여 만족할만한 답산은 못하였으나, 이 산에는 고대 노자(老子)가 윤희에게 도덕경을 강설하였다는 전설적 유적지인 설경대(누관대) 및 중국 8대신선 중의 한 선인인 여동빈(呂洞賓)을 모신 도관, 또는 당(唐)나라 때의 약왕 손사막(孫思邈:581~682) 진인을 모신 약왕전 등의 유적만 직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을 뿐이다.   다만 세속적 재야사가들을 현혹시킬만한 문구로서 산기슭 태백산국가산림공원 표지석에 ‘웅거천지 기궁고금(雄踞天地 奇窮古今)’ 이라 쓴 문구와 1800m 지점 마을 입구 표지석에 ‘개천관(開天關)’이라 쓴 문구 등이 보인다. 곧 정도에 지나쳐 보이는 재야사가(?)들은 이들 표지석의 문구를 보고 감격하여 웅거천지의 웅거(雄據)할 웅자를 환웅천왕으로 보기도 하고, 이태백의 ‘등태백시(登太白詩)’에 보이는 ‘태백산(신)이 나에게 이야기하길, 날 위해 하늘의 관문 열었다네![太白與我語, 爲我開天關]’라고 한 시구에서 유래한 땅이름 ‘개천관’을 단군의 개천사적지와 관련시켜 언급하기도 하는데, 모두 언급할 가치도 없는 이야기들이다.    고대에 태백산으로도 불리었던 묘향산과 아사달산으로도 불리었던 구월산에는 모두 상고시대 단군의 유적지가 남아 있다. 곧 묘향산의 향로봉 중복에는 단군이 태어나신 곳이라는, 너비16m, 길이 14m, 높이 4m 가량의 단군굴(檀君窟)이 있고, 단군굴 근방에 청정한 천수(泉水)가 있는데, 단군이 잡수며 생장하였던 샘물이라 하며, 그 근방에 있는 단군대(檀君臺)라는 석대(石臺)는 단군이 활을 쏘던 사대(射臺)라고 한다.  역사학자 장도빈(張道斌:1888~1963. 단국대 초대 학장)은 <단군고적고(檀君古蹟考)>에서 단군사적과 관련한 묘향산을 답사하고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묘향산의 최고봉에 다다르면 백토(白土)로 된 고봉이 하늘에 닿았는데, 그 봉우리는 온전히 단향(檀香)나무로 엄폐되어 있다. 이렇게 백설(白雪)같은 봉만(峯巒)에 푸른 단향나무가 가득차서 산을 가리운 것을 볼 때에 과연 이것이 태백산 단목하(檀木下)인 것을 알았다. 따라서 이 산에 단향나무가 많은 고로 산의 고명(古名)이 향산(香山)이요, 이 산에서 탄생한 신인(神人) 왕검(王儉)을 후세에 존칭하여 단군이라고 한 것을 알았다.”   위와 같은 묘향산의 단군유적은 조선 숙종 시대의 고승 설암(雪巖) 추붕(秋鵬:1651~1706)의 《묘향산지(妙香山誌)》에 의하면, 조선시대에도 계속 전래되어 왔음을 살필 수 있다. 설암은 곧 묘향산의 단군유적으로서 단군대(檀君臺)와 , 단군께서 신인(神人)으로 탄강하였다는 탄생지 단군굴(檀君窟)과 단군 강무대(檀君講武臺) 및 단군께서 과녁의 지팡이를 세워 두었던 바위라는 후장암(帿杖巖)을 자세히 언급한 후 이들 전설이 결코 허황한 것만은 아닌, 긍정적인 면으로도 볼 수 있는 것들이라는 것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예전 일은 매우 허황하여 이야깃거리삼아 다 실증하기는 어렵다. 그러나(다만) 《대조기(代朝記:朝代記의 잘못으로 보임. 조대기는 조선시대에 禁書였으므로 의도적으로 바꿔 썼을 수도 있음)》에 이르기를 ‘환인(桓仁:桓因을 오인한 듯)이 태백산 신단수(神檀樹) 아래로 내려와 머물렀다. 어느날 백호(白虎)와 교통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 분이 단군으로서 우리 동방에 나라를 세운 군장이 되었는데, 요임금 연대와 같은 해였다.’ 고 하니, 그렇다면 (앞의 묘향산 단군 유적지에 관한 이러한 전설들은) 세상 사람들이 기이한 것을 좋아하여 잘못을 답습하고 있는 설만은 아님이 분명하다.”    위의 《대조기》(이를 《제대조기》로 읽음은 잘못임. 《조대기》?)의 기록 내용이 조금 부정확한 것으로 볼 때 설암이 이를 직접 본 것이 아니고 전해들은 것을 옮긴 것이라면, 《삼국유사》의 단군사화에 보이는, 환웅의 짝이된 웅녀가 백호로 바뀐 것도 환웅(桓雄)의 수컷 雄자가 곰 웅(熊)자로 오인된 것으로 인해 환웅의 상대가 백호로 오해되어 달리 와전된 전설이 아닐까 추측되기도 한다.  위의 단군설화의 내용은 기존의 단군사화 내용과 다른 새로운 유형의 단군설화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주목되기도 하지만, 어찌보면 《삼국유사》도 한 번 읽어보지 못한, 역사지식이 그리 깊지 못한 한 불승의 오해로 와전된 단군신화의 기록을 호랑이 토템 민족 운운하며 너무 깊이 들어가면서 과대 해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조에 의하면, 동부여의 왕 금와(金蛙)가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를 만난 곳이 바로 태백산(太白山) 남쪽 우발수(優渤水)라 하였다.  조선시대 이만부의 《지행록(地行錄)》에 의하면, 묘향산 남쪽에 우발수란 한 못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고대의 금와 사적지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여기서의 우발수 또한 지금의 묘향산 남쪽, 옛 영변군(寧邊郡) 남쪽 백령면(百嶺面)의 은봉(銀峯) 밑 학암(鶴岩) 위에 있는 것으로 볼 때 《삼국사기》 금와고사에 보이는 태백산도 바로 묘향산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삼국사기》동명성왕 6년(B.C. 32)조 기사에 의하면, 왕이 오이(鳥伊)와 부분노(扶芬奴)를 명하여 태백산 동남의 행인국(荇人國)을 쳐서 그 땅을 빼앗아 성읍을 삼았다고 하였다.  《영변군지(寧邊郡誌)》(1971年刊)에 의하면, 행인국은 묘향산 보현사(普賢寺) 일원에 국도(國都)를 정하고 개국(開國)하였던 나라라고 하였다. 고구려 동명성왕 때 오이와 부분노 두 고구려 장수에게 정벌 당하여 전군(全軍)이 대패하자 행인국왕이 보현사 동쪽 4리쯤 되는 곳에 있는 큰 바위 석굴에 피신하여 숨어 있다가 생포되면 서 나라도 멸망 하였다.  그 석굴은 행인국의 국운이 다한 석굴이라는 의미로 후대에 ‘국진굴(國盡窟)’이라 불리어졌다. 현진건(1900~1943)의 <단군성적순례(檀君聖蹟巡禮)> 에도 이 ‘국진굴’에 관하여 자세히 언급하고 있고, 또 묘향산의 단군굴에 관해서도 매우 상세한 답사기를 남기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옛날 평양감사나 영변부사가 도임할 때 마다 체면 치레로 단군굴을 근참한다고 남여를 타고 행차하여 이에 죽어날 지경인 승려들이 빈봉 동쪽에 있는, 접근하기 쉬운 다른 동굴을 단군굴이라 속여 안내하였다고 하는데, 이를 ‘가단군굴(假檀君窟)’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구월산에도 상봉 북동쪽 오봉(五峯) 중복과 산기슭에 단군대(檀君臺)와 단군굴이 있다. 단군대 부근에 궁궐이 있었으므로 ‘궐산(闕山)’이라 일컫던 산 이름이 연음(延音)되어 ‘구월산(九月山)’이라 불리어지게 되었다.   (《대동지지》문화(文化)조 참조). 이곳 단군대는 단군이 등선(登仙)한 곳이라 전한다. 이 산 상봉 남동쪽에는 아사봉(阿斯峯:687m)이란 봉 이름도 전한다. 또 이곳 구월산 기슭 삼성리(三聖里), 옛 성당리(聖堂里)에는 일찍이 고려 때부터 환인(桓因) ․ 환웅(桓雄) ․ 환검(桓儉:단군)을 모신 삼성당(三聖堂) 또는 삼성묘(三聖廟)라 일컫던 신묘(神廟)가 있었다. 《세종실종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문화현조에도 구월산 성당리(聖堂里) 소증산(小甑山)에 삼성사(三聖祠)가 있는 것으로 언급하고, 그 삼성을 ‘단인(檀因) ‧단웅(檀雄) ‧ 단군(檀君)’ 으로도 언급하고 있다.    《삼국유사》의 단군사화에 보이는 ‘삼위산(三危山)’의 ‘危’자는 곧 조선의 역사에 있어서, 그리고 조선의 역대 인민에게 있어서 높고 우뚝하고 거룩한 세 신성(神聖)의 영(靈)이 머물고 있는 삼신산(三神山), ‘삼성산(三聖山)’ 의 의미로서 일컬은 산 이름이라 추측된다.  물론 《삼국유사》의 단군사화 기록에 의하면, ‘삼위산’은 태초부터 불리어온 고유의 산 이름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상고 이래 전래되는 단군사화의 내용에 의거하여 후대에 인위적으로 의미가 부여되어 불리어진 산 이름으로 볼 수도 있다고 본다.  묘향산과 함께 고대사상에서 태백산으로 일컬어진 산으로 또 우리민족의 성산(聖山)으로 일컬어지는 백두산이 있다. 백두산을 태백산으로 일컫고 있는 확실한 예로는 우리나라 정사기록으로는 《삼국사기》최치원전(崔致遠塼)에 발해(渤海)의 건국에 관해 말하면서 언급한 것이 있을 뿐이다.  중국의 정사상에서는 《위서(魏書)》 물길전(勿吉傳)과 《북사(北史)》 물길전 및 《신당서(新唐書)》의 흑수말갈전(黑水靺鞨傳)과 발해전(渤海傳)이 있다. 이 중 《위서》와《북사》의 일본(一本)에는 ‘太白’ 이 ‘太皇(태황)’ 으로도 언급되어 있어 분명치 않다.    이에 의하면 백두산은 고대에 ‘태백산’으로 불리어 온 것은 분명하나, 이곳에는 전설적이던, 고고학적이던 명확한 단군시대 유적지는 전래하지 않는다.   단군사적지 백두산설    백두산을 국조 단군의 개국(開國) 발상지로 본 예는 조선시대에도 안정복(安鼎福:1712~1791)의 《동사강목(東史綱目)》 태백산고(太白山考) 및 윤정기(尹廷琦:1814~1879)의 《동환록(東寰錄)》 단군조선조 주(註)에 일부가 보일 뿐이고, 고려시대 사료와 조선시대 역대 지리지 등에는 대체로 묘향산을 그 발상지로 언급하고 있으며, 20세기 이후로도 민족종교적 사서류(史書類)인 북애노인(北崖老人)의 《규원사화(揆園史話)》와 민족주의적 시각이 강하게 보이는 최남선(崔南善:1897~1957)의 《백두산근참기(白頭山覲參記)》 등에서만 일부 보였을 뿐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정사(正史)의 관점에 의한 고대사 저술로 보기에는 문제가 있어 보이는 《환단고기(桓檀古記)》 등의 고대사 관련 도서가 크게 부각되면서 단군조선의 개국 발상지로서의, 묘향산설이 더 퇴색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에 관한 뚜렷한 유적이 새로 발굴된 것도 아니고, 대체로 민족주의적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고 보다 더 실증적인 관점은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규원사화》에서는 단군사화상의 태백산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는 내용이 보인다.   “대개 우리나라의 모든 산이 태백이란 이름을 붙인 것이 많으니 선비들이 대개 영변(寧邊) 묘향산(妙香山)으로써 당하니 실상 일연(一然)의 《삼국유사》에 있는 말에 연유했으되 저들의 시야가 좁아서 어찌 함께 논의하겠는가? 지금의 백두산상에 큰 못이 있으니 둘레가 팔십리요 압록강과 혼동강 등 여러 강물이 이에서 비롯하였으니 천지(天池)라고 말한다.  곧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신시씨가 구름을 타고 하늘에 오른 곳이다. 묘향산은 일찍이 한 조그마한 물구비도 없으니 환웅이 처음에 내려오신 태백이 되지 못함은 너무도 분명하지 아니한가?”    위의 내용과 같은, 단군사화와 관련한 천지이야기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세종실록》 등 정사상의 단군사적에서는 한 군데도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다. 곧 단군사화상의태백산 산정에 큰 못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규원사화》 저자만의 이야기일 뿐이다. 학계에서 위사서(僞史書)로도 논급되고 있는 《환단고기》보다 저술연대나 출현연대가 훨씬 앞서고 있는 《규원사화》도 사료상으로는 진서로 보기 어렵다고 본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학자가 논급한 바 있으며, 그 중에서도 조인성 교수(경남대)의 설이 가장 많이 참조, 운위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재야사가들의 공격적 재반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필자는 이에 기존에 아무도 논급한 바 없는 《규원사화》의 저술시기 등과 관련한 위서로서의 결정적 문제점을 간략하게 제시해 보고자 한다.    규원사화의 저술연대에 대한 일반적 관점은 본서 서문 말미에 저자가 밝힌, ‘상지이년 을묘(上之二年乙卯)’라는 문구에 의하여 ‘조선 숙종 원년(1675년) 을묘’에 저술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한 전거에 대해서 고평석 스님(홍익사상·고대사 연구가) 등 재야사가들이 자신있게 내세우는 전거는 바로 규원사화 서문에 보이는, 저자가 당시 평양에 돌아왔을 때 마침 조정에서 을지문덕의 사당을 세운다고 했다는 내용이 《조선숙종실록 6권》 숙종 3년 정사 11월 을유조에도 기록되어 있다는 이야기이다.[고평석의 <규원사화 북애노인 친필본>(한배달 6호, 1989년 12월 등 참조] 그러나 이는 숙종실록의 내용을 정밀하게 살펴보지도 않고 언급하고 있으며 역사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한 이야기이다.   실록의 숙종 3년 11월조 기사에는 “을유일에 예관을 보내어 고구려 을지문덕 사우의 편액 이름[額號]을 내려주고 인하여 치제(致祭)하게 하였다.”(乙酉, 遣禮官, 賜高麗乙支文德祠宇額號, 仍爲致祭) 이 기사는 곧 조정에서 을지문덕 장군의 사우에 대한 편액의 액호를 내려준 사액연대 기사이지 을지문덕사우의 건립연대를 언급한 내용이 아니다. 조선시대 사우와 서원은 거의 모두가 건립연대와 사액연대가 다르다.   여기에 보이는 을지문덕사우는 평양 창광산 남쪽에 있었던 충무사(忠武祠)를 말한 것으로, 이에 관한 연혁은 《여지도서》 평양조와 《대동지지》 및 《연려실기술》 별집4 등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곧 충무사는 인조 을유에 감사 김세렴이 창건한 후 양몽재(養蒙齋)라 하였고, 현종 경술에 감사 민유중이 중창한 후 을지문덕 장군을 봉안하였으며, 숙종 3년 정사에 충무사라 사액하였다. 이로써 볼 때 을지문덕 사당과 관련한 규원사화의 저술 시기는 결코 숙종 원년 을묘로 볼 수 없다. 위에서 저자가 밝힌 규원사화의 저술 시기는 저자가 저서의 역사성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혹 저자 당시에 을지문덕 장군 사당에 관하여 당시 조정에서 피폐된 사우를 중수하고 치제하게 한 사실이 있었을 수도 있는데, 그러한 사실이 있었다면 그 시기는 순종 2년(1909)의 일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곧 순종실록 2년 기유 1월31일조 기사에 각지의 무덤과 사우 등을 찾아 보수할 때 숭령전·숭인전과 을지문덕 사당 등에 지방관을 보내어 치제하게 한 기사가 보인다.   필자는 규원사화가 이 무렵 곧 1910년대 전후 시기에 단군을 종교적으로 숭배하는 대종교 계통의 대학자가 저술하였을 것으로 보며, 그 결정적 단서는 곧 대종교인들만이 그들의 교리를 언급할 때 금과옥조처럼 쓰고 있는 ‘성통공완(性通功完)’이란 용어이다. 이 말은 진성이 열리어(통하여져) 공을 완수한다는 말로서, 불가의 ‘자리이타(自利利他)’와 유사한 의미의 철학 용어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깨달음의 의식 상태에 도달하여 자아완성을 이루는 것이 성통이고, 깨달은 바를 행하는 것이 공완이다.  이 용어는 대종교의 3대 경전 중 교화경인 《삼일신고 (三一神誥)》에 두 번이나 언급되고 있는 전문 용어이나, 조선왕조실록·한국문집총간 등 다른 어떤 문헌에서도 이 용어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이 ‘성통공완’이란 용어가 《규원사화》의 단군기와 만설 두 군데나 보이고 있으니, 규원사화의 저자가 어찌 대종교인이 아니랴?    또 백두산기로서는 상당히 해박한 명문으로 인구에 회자되는 최남선의 《백두산근참기》에서 백두산과 단군사화를 결부시켜 언급하고 있는 내용을 조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 최초의 입국지(立國地)를 천평에 의(擬) 하기는…… 조선의 고전(古傳)을 거(據) 하건대 그 국근(國根) 인 환국(桓國:桓因을 잘못 읽는 예로서 근거 미흡)도 천국을 의미하고 수군(首君)인 환웅(桓雄)도 천왕을 의미하는 등 약간 잔여한 명구가 모두 천(天)으로써 일관하였는데, 전설상의 발상지로 동방의 천산인 백두산이 정(頂)에는 천지를 대(戴)하고, 신(身)에는 대하(大河:승가리우라)를 수(垂)하고, 요(腰)에는 천평을 대(帶)하는 등, 다 없어지고 겨우 남은 지명들이 시방까지 판에 박은 듯 천자(天字)를 지녀옴이 결코 우연이 아니겠음으로부터 추론함이었다.”   최남선은 위의 천지(天池), 천평(天坪), 천왕당(天王堂) 따위와 같이 ‘天’자가 붙은 지명 일부를 가지고 언어학적 관점에서 막연하게 추리적으로만 일관되게 언급하고 있을 뿐 백두산 일원에 어떠한 단군조선의 유적지가(전설적 유적지라도) 조금이라도 남아 있는 것을 가지고 실증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예는 하나도 없다.  특히 ‘천평’이란 땅이름은 《증보문헌비고》 등 조선 후기의 문헌자료나 18, 19세기의 고지도 《해동지도》, 《대동여지도》 등에 그 전거가 보일 뿐이고, 천지는 조선시대 역대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택(大澤), 대지(大池), 달문지(闥門池) 등으로 달리 지칭한 못 이름은 보이나 ‘천지’란 못 이름은 보이지 않으므로 막연하게 백두산의 ‘천’ 자가 붙은 지명을 가지고 단군시대부터 불리어온 옛 땅이름으로 보는 데는 크게 무리가 있다고 본다.   또 천왕당이란 사당과 그 사당에 봉안한 위패에 보이는 국사대천왕신을 단군신과 동격으로 보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예컨대 조선시대에 속리산 산정에도 대자재천왕사(大自在天王祠)에 천왕신을 모셨으나, 이 천왕신이 속리산 산신이었을 뿐 단군신은 아니었고, 지리산 산정의 천왕당에도 지리산 산신인 지리성모를 모셨을 뿐(조선시대 박여량의 <지리산일록> 참조) 단군신을 모신 적은 없다. 백두산 천왕당의 천왕신 또한 그 산의 산신인 백두산 산신이었을 뿐 단군신이었다는 근거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묘향산 단군굴 안에 모셔져 있었던 위패는 이와 다르다. 곧 현진건(1900~1941)의 <단군성적순례>에 의하면, 굴안 서편 좌측 중앙 우측에 ‘나무환인천왕지위(南無桓因天王之位), 나무단군천신지위(南無檀君天神之位), 나무환웅천왕지위(南無桓雄天王之位)’라 씌어 있는 위패가 모셔져 있었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현진건의 묘향산 답산 시기보다 한 해 앞서는, 1931년 7월에 묘향산을 다녀간 후 산행기를 남긴, 노산 이은상(李殷相:1903~1982)의 <향산유기(香山遊記)>에도 이곳 단군굴에 대한 자세한 답사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나는 이 굴 앞에 이르자 무조건으로 무릎을 꿀었으며 무의식으로 눈물을 흘렸습니다. 한 쪽 구석에 목비(木碑) 셋이 계시다 함으로 자세히 찾으니 땅바닥 진흙에 넘어져 있습니다. 나는 강건한 마음으로 목비를 모셔 안고 그 몸에 발린 흙을 씻은 뒤에 바위 벽에 세 위(位)를 모시어 세우니 중앙 목비에 단군천신지위(檀君天神之位)라 썼고 좌우의 목비에는 남무환인천왕지위(南無桓因天王之位), 남무환웅천왕지위(南無桓雄天王之位)라 씌어져 있습니다.  남무란 곧 귀명(歸命)이란 뜻이니 우리 천왕에게로 돌아오라는 말입니다. ‘돌아오라’ 얼마나 우리 마음을 일깨워주는 말입니까. 나는 이 ‘귀명’ 일언(一言)으로써 우리의 표어를 삼고자 하거니와 이 말이야말로 더럽고 적고 약하고 어리석고 무디고 간사하고 조라지고 어둡고 미지근하고······이러한 온갖 악점밖에 못 가진 우리에게 내려주시는 명령이요 또한 복음입니다.”   맺는 말    필자의 선친 [인산 김일훈(仁山 金一勳:1909~1992)]은 일제시대에 독립운동가로서 왜경을 피해 백두산 ‧ 묘향산에 십수년간 은신하여 지냈던 분이다.   필자는 일찍이 선친께 백두산에도 묘향산과 같이 단군의 유적지로 전래하는 곳이 있는지 여쭈어 본 일이 있으나, 없다고 단언하셨다. 그리고는 단군사화와 관련한 단목(檀木)으로 보이는 눈처럼 흰 박달나무는 묘향산에만 총생하고 있기 때문에 그 향(香)이 신묘하다고 하여 산 이름도 묘향산이라 하고, 그 봉우리 이름도 설령봉(雪靈峯) 이라 한다고 말씀하였다.   * 위의 논고는 <<山書, 20호>>(2009년 12월, 한국산서회 발행)에 게재한 논고임.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
  • 서울 백선우 형님
    서울 형님 도해 방문.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
  • 아이들 어려선 올망졸망 세 아이 데리고 어디든 못 가는 곳 없이 쏘다녔건만  아이들 커가니, 학원 과외니  공부 핑게로 온 가족이 함께하는 여행이 쉽지 않다. 어제 일요일도 고 2 둘째 아이는 수행평가로 집에 두고  대학교 다니는 큰 아이와 중3인막내 아이를 데리고  아이엄마와 함께 장성 백암산 기슭에 자리 잡은 천년 고찰인 백양사를  새벽5시 반에 서둘러 출발을 하였다. 여행경험으로 단풍으로 유명한  내장산을 여유롭게 보기 위해선  남보다 더 부지럼을 떨어야 하기에  달콤한 새벽잠을 깨워 어둠을 헤치고  광주를 출발하여 백양사를 향했다. 차 속에서 먹는 김밥 한 줄에 아침을 대신하고 동터 오르는 아침 여명을 느끼며  새벽에 도착한 백양사는 우리보다 더 부지런한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었다. 새벽 안개와 더불어 붉게 타르는 단풍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모여든 사진작가들과  불가신자들 틈에 백양사 너머 약수암까지 가파른 산행을 하면서 탄성이 절로 나오는 가을 절경에 셔터를 누르며   구슬땀을 흐르며   올랐던 약사여래 불 앞에  아이엄마와 함께 삼배를 올리며  이번 도해 가에서 심혈을 기울린 신약 오핵단과 더불어 건강을 되찾기를 간절히 기도하였다. 백암산을 하산 하면서 단풍절경으로  유명한 백양사에서  내장산으로 넘어 가는 산 속 길의  아름다움을 알기에  막내 과외시간 때문에 서둘렀던 가을여행길을  접고 욕심 내어 마음을 접어 막내 아이만 백양사 버스터미날에서  집으로 보내는 야속한 부모(?)가 되기로 하고  슬그머니 속내를 이야기 하니 막내 녀석이 더 신이 난다. 홀로 버스 여행을 하고 싶다나.... 이 녀석 꿍꿍이 속을 헤아리니 넉넉한 여유돈도 챙기고 호가심 발동이겠지 터미날에서 버스표을 끊어주고 비상금과 함께 집으로 떠나 보내는 막내의 뒷모습을 보고 아이들이 커가면서 하나 둘 떠나 보내는 심정을 미리 경험한 것 같았다 , 군대 보내는 부모 심정이 이럴까? 백양사 입구에서 내장산 가는 길은 정말 아름답다. 가는 길목 사과 밭에서 서리 맞은 사과 한아름 사고  속이 보랏빛 나는 고구마도 샀다. 얼마 전에는 비 오는 날 아이들과 함께  이 곳 사과 과수원에서 직접 따서 먹는 사과맛에 반해, 맘씨 좋은 노 부부에게  푸성귀도 사고 덤으로 받는 인정에  이 곳 농장의 식구가  된 듯 싶다. 핏 빛 단풍 터널 속을 지나 듯  백양사에서 내장사 입구까지 가는 길은  언제 가도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다, 아침이 되어 가면서  서울 방향에서 들어 오는 내장사 입구쪽에서  오는 차량행렬이 장난이 아니다. 오랜 여행 경험으로 이 곳을 빠져 재빨리  차를 돌려 정읍 입구에서  쌍치고개를 넘어 담양 추월산으로 향했다. 담양호와 금성산성에 둘러 쌓인 웅장한 바위가 장엄한  추월산... 정상에 자리한 보리암자까지 가파른 비탈진 등산로는 경사가 심해 바위 사이 사다리를 의지하며 동아줄에 매달려 열심히 따라오는 큰 아이와 아이엄마가 대견하였다. 아슬아슬한 등산로를 따라 약 한 시간 반을 오르니 확 뜨인 정상이 우리 가족을 반긴다. 보리암에서 들이키는 시원한 약수 한 사발에 흐르는 땀을 씻고 양지바른 곳에서 먹는 꿀 맛 같은  점심식사, 오르는 길이 있으면 내려 가는 길이 있지 않은가~! 가을 억새가 제법 사납게 부는 가을 바람에  흐트러지게 하늘거리는 늦가을 날, 백양사에서 내장산까지 그리고 다시 쌍치재(칠보계곡 )를 넘어 추월산  정상까지   성숙한 여인처럼 완연한 가을을   가슴에 안아 보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