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본초'(으)로 총 662 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게시물 통합 총 460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殺氣의 殺人核과 生氣로 만든 活人核    이 해방 후에  변수(變數)에 들어가서는 칠소양(七少陽)이 있는데 간소남(艮少男) 이지. 칠소양이  있는데, 그것이 육노음(六老陰)하고 변수가 오면 음수(陰數)는  변 하면 하나가 둘이 되듯이, 그게 음수고  둘이 셋 되니까,    이러니 만물이 화생되는 근본이라. 그러면 변수로 들어가면 육칠이  사십이(6X7=42). 해방후 42년[1987년]은 폭탄 같은 세례를 많이  받는 시기가 와 가지구 억울하게 죽는 생명이 많아진다. 그 러면 정수(定數)에 들어가면 뭐이냐?  정상수에는 뭐이 있느냐? 해방된 후에  45년 구노양지수(九老陽之數)에다가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  오행(五行)정수가  변하게 되면 이것은  뭐이냐? 해방  후, 45년 그 후  6년 7년, 이땐 뭐이냐?가장 큰 화약물 이  터지니 이게 핵(核)이다 이거라. 그러나 우리는 그 세계에  대한 방법을 하나하 나 익혀 가야 된다 이거라.   아무것도 모르구  있다가 죽어 가는 걸 누가 살려?  날 따르라고 하지 않아요. 난  어느 편도 아니야. 내가 세상을 구원하러 왔으면 기독교 인이 되느냐 뭐이요, 어떤 한 편에 가 선다, 그런 사람이 있을 수  없어요. 난 어디 까지나 지구를 구하러  왔지 사람만 가지고  싸우고 싶지도 않아요.   지구를 구하는 데 앞장서는 건 사람이라.  모든 지구의  생물을 구할라면 사람이 앞장서야 되는데 사람이 앞장설라면 가르치지 않으면 앞장설 수  없는 거.그러나 거기서  제일 먼저 나설 사람도 있을 거라. 그건 뭐이냐?     종교인 속에서는 구세주에 대한 한(恨)이 있는 사람도 있어요. 그러면 구세주의 가 르침을  외면할 사람은 믿는 사람 속에는 몇 안 된다. 그러기 때문에 이 세상은  어떤 존재고 하나 나타나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서 왔고 지구의 모든 생물을 사랑 해서 왔으면 나는 예수님은 사랑을 하는 것이 무어냐? 사랑이란 어디까지나 진정한 사랑은 진정한 슬픔이  있어.   그러면 진정한 사랑은 뭐이냐? 부모,처자,부모 처자가  세상 떠날 적에  진정하게 사랑하는  양반이 세상 떠나는데 진정하게 슬픈 거다. 그 러면  이것은 부처님의 가르침 고대로 대자대비(大慈大悲)라. 주님의 사랑은 일종의 대자대비라.   그래서 그 양반은  인류를 구원하러 오셨지만 부처님은 제도중생 (濟度衆生)하러 오셨고, 나는  그와 마찬가지로 인류도 구원하겠지만 지구를  다시 살리지 않으면  지구의  생물은 영원히 한동안 날 수 없다.   모든  핵이 폭발한 후엔 지구에 생물이 날  수 있는 시간 상당 시간이  오라. 그러면 나는  이 땅에  신인세계를 창조한다는 사람이니, 그런  세상에 잿더미가 되고  끝나 면 내가  헛소릴 하고 가고, 헛수고 하고 가고 허사가 된다면 어찌 되느냐?  그런데 대해선 대비책이 있을  건 틀림없을  게요. 그래서  내가 아까 하는 말,하늘님은 무 심할  수 없다.   인류를 위해서 반드시 대표적 깨달음이 있는  사람이 왔을 게고, 또 지구를  위해서는 지구를 가장 애끼는 하늘님이  지구를 잿더미로 만들어 가지고 영 원히 생물이 못 살게   하느냐? 그렇지 않느니라 그말이야.  그래서 신약이라는 자 체가  그렇게 돼 있는데 그  신약 하나하나의 설명은 물론 상당한 시간이 걸리겠지 요, 이런데.  
    인산학이야기속으로
  •     약성 뛰어난 토종의 가치 인식을   또 홍화씨도 홍콩에서 주문해다가 다리 부러지고 뭐 뼈가 부서진 걸 약을 하면 되 긴 돼요. 시간이 오라.  여섯 시간에 끝나는 걸 3,4일~5일까지 가요. 늙은이는 5일 까지 가서 깨끗하게 나아요.   이래서 그런  좋은 약종(藥種)들,  우리 나라에 하나가  아닙니다. 그러니 앞으로  내가 하는 말을 더  들을 수 있는  시간도 있겠지. 그렇 지만 오늘은 뭐 길게 이야기하긴  시간적으로 좀 어려워요, 어려우니.   만일 서로 나 도 서운하지만 좀  서운한 감이 있을 적에 헤어지는 것이 좋지 않겠어요? 그래서 여 러분은 아쉬운 작별을 하는 게 좋을 겁니다. 나는 다 가르쳐 주고  싶어도 <본초강 목>(本草綱目)을 놓고 잘못된 것을  전부 고쳐야 되는데 그  시간이 없어요.   그러니  우리 이 정도로 나눕시다. 얘기 이걸로 끝내고  그러고 앞으로 하나하나 이 녹음을 통해서  확대시켜 가지고 서로  알도록 합시다.  다음에 또 녹음하는 건 다음의  일 이고. 그래 오늘은 이만 이걸로  끝내려 하니 그리 아시오.                            
    신약의세계홍화씨
  •     한반도 근해의 물고기 맛있는 이유     그래서 내가 물리(物理)에 밝은 학자들하고 같이   이 감로정에 대한 비밀을 알려 주기  위해서 한 60년 채  안된 그땐데[1920년대 중반 무렵], 우린 배를 타고  공해 상(公海上)에 가 가지고 달밤에 새벽녘에  물에 정어리가 오는,  멀리서 망원경 쓰 고 보면,  정어리가 오는 정어리떼를 볼 수가 있다.   그래서 저기 정어리가 오고 있으 니  저때 사공들 보고 후리해라. 후리쳐 가지고 후리그물 쳐서 저걸 잡아서  우리가 실험 좀 한 일이 있다. 그래 그 실험하는 학자는  두 분,나까지 셋인데. 그래 그 사 람들이  "어떻게 그 멀리 오는 것이 정어리라고 봅니까?" 이거야.  "응, 멸치게 되 면 물의 수문(水紋)이 다르다. 물의 그 흔들리는  파동(波動)이 멸치게 되면 거 군 단(軍團)을 이루지만 고놈은 원래 약체(弱體)라.    약체의 생물은 어떻게 되느냐? 깊은 물 속에 들어가게  되면 수압(水壓)에 견디지 못해서 가질 못한다.  수압에 눌려 가지고 갈  수도 없고 가게  되면  숨차서 못 견디고  그래서 수면(水面)에 올라와  보는 거다. 그래 흔들리게 되면 그 작은 물체가 군단을 이루고  흔드니까 물에 대한 파동은 잔잔하게 흔들리게 되어 있지  않느냐? 그렇지만 조금 저것보다 크다.  멸치 보다 크니까 저건 정어리다.    일본에서 넘어오는 건  정어리 외엔 요새  이 시간에 없다." 그래서 기둘리니까 정어리가 온다는 거지. 그럼 그 사람들이 고등어는  정어 리보다 조금 밑에 있으니 물이 흔들리는 힘이 멀리서  봐도 잘 안 보여요. 그렇지만 정어리까지는  힘이 약해 가지고 수면에 다  오르진 않아도 어지간히 한  자 밑으로 오니까 물이 흔들려요. 그래 온 연에 그물쳐서 잡아 가지고  나 술안주 한 일이 있 어요. 거 맛있지요. 공해를 지나 가지고.   우리가  먹던 그 정어리떼를 살살 따라서, 그놈들이 배가 뒤에 멀리서 오니까 물속으로  깊이 댕기기 때문에, 내가 "저놈들이 깊이 들어가 가기 때문에  조거 얼마 가게 되면 숨차고 지쳐 가지고 저 아무데서 쉰 다.  우리 그 멀리서 쉬자." 그래 가지고 며칠을 따라온 겁니다.   따라와 가지고 우리 있는 땅[우리나라  땅]1백리 안에 들어오니까 잡아서 맛을 보면 공해상에서 먹던 때는 일본에서 떠난 그대로고 우리 나라  백리 안에 들어오니까 벌써 3~4일  동안에  맛이 변했어요. 그건 뭐이냐?     그 몸땡이에 터러구[털]가 없고  정감성(精感性),정밀할 '정'(精)자 정감성의 반응 이라는  거지.그래서 정감성의 반응이  그렇게 민감하다. 터러구 있는 짐승은 물에 닿으면 터러구가 맥혀 가지고 정감성은 전부 벽에 부딪히고 만다. 그래서 "우리나라 연안  30리 되는 데에 저놈들이  근접하니라.   그때에 지쳐 가지고 며칠 쉴  적에, 쉬고 분산돼 가지고 알 쓸러  댕길 때 우리가 그물 치자." 그래  쳐서 잡으니까 특 별히 맛있다. "이 껍데기의  맛을 보라. 이건 참  별미(別味)요."이거라. 이게 뭐이 냐? 이거 감로정으로  화(化)한 모든 분자는 초목이 나와서 신초(神草)고 버럭지도 다 그렇다. 그런데 이  물고기도 왜, "왜 이거  동해엔 용(龍)이 오를 수  있느냐?" 이거다. 그래서 "땅속에 있는 감로수의 감로정이 이 수면으로 이만치 나왔다.   그렇지 만  멀리 못 간다. 공해상까지  갈 힘이 없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서는 30리 안에 들어온 놈 먹어 보고,  그것도 사흘 후에 먹은 거지." 이러구, "백리 안에  들어온 후에 먹어 보면 감로정이 물속에  스며드는 힘이 너무도 약해. 그래 가지구 맛이 쬐 끔  차이가 있어. 그러나 30리 안에 들어오면  그 무서운 차이를 봐." 그러면 "너 물리학적으로  이거 어떠냐? 가상(假想) 북양(北洋)에서 잡든지 태평양에서 잡은  청어를 먹어 보라.    우리 나라 바닷가에  와 잡히는 청어하고 맛이  얼마나 틀리느 냐? 그러구 태평양에서 들어오는 조기[石首魚]가 영광 바다에 들어오면 사흘 안에  왜 "참조기"가 그 속에서 생기느냐? 이거는 감로정의  원리다,   우리는 이런 우리 땅에 있는 감로정의 비밀을 오늘까지 왜 세상에 이거 개방해 주지 않느냐? 이것은 넌 물 리학에 박사되는 거이 원(願)이지, 우주비밀을 아는데는 원이 없으니 난 이 세상에 서 인간이 될 수 없지 않느냐" 하는 거요.    
    신약의세계동물/식물
  •   神人 세계 우주촌의 電光體     우리도 신통한 사람이 있다면  어느 무인도에  가 혼자 사는 사람도 있어요. 산에 가 혼자  살고. 이러기 때문에 우리는 완전히 우주촌이 창설된 뒤에는 전광체하고도  함께 산다.   그건 왜 그러냐?  신인세계에는 귀신이라는 건 불속에 들어가서 데어 죽 은  귀신은 없어요. 물속에 들어가 빠져 죽은 귀신도 없고. 그래서 완전한  신세계 (神世界)가 창설된 뒤에는  우주촌이라는 세계가 또  열려요.   그  우주촌이란 세계 열리는 날짜는 내가 알고  있지만 그건 세상에서 믿어질 수 없는 거. 단군이  이 세 상에 나오신지 5천년이 가차운 세상에는 단군 후손은 신인세계가 완전히 이뤄질  거 고 또 단군 이후에 천년 만년이 가게 되면 우주촌이  창설된다.   그땐 신인세계가 완 성되고 우주촌이 창설되면 전광체하고 같이 산다 이거라. 그러면 우리가 신약에  대 한 개발, 이건 애 장난이야. 그렇지만  여기 모인 양반들도 신약이라게  되면 있을 수 있을까 하지, 이렇게  되니 신인세계 창조는 하루 이틀에 될  수 없고 우주촌 창 설은 참으로 먼 세월이 와야 되는 거다, 이거야.   그래서 전광체를 우리가 같이  이 웃에서 같이 살 수 있는 세계가 오는데, 지금은  지구에 번쩍하면 지구가  다 타고 없으니  핵이 폭파시키는 거와 다를  바가 없어. 그래서 나는  신인촌(神人村)부터 우선 개발하면 그 뒤에 전광체하고 같이 사는 우주촌이  창설된다. 이게 엄청난 거 짓말인데 그 사실이 증거가  있어요. 많은 증거가 내겐  있어요.   그런데 내가 하는   말이 그거야. 모든 문헌은 내가 기록할  수 있는 문헌이 없고 모든 어원이 오늘까지 내려오면서 그 말에 대한 발달이 이렇게 됐는데 왜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전혀 없느 냐? 어원(語源)의 미달(未達)이 이렇게 큰 불행을 낳느니라. 내가 하는 말이라.    나는 전광체하고  같이 사는 우주촌 창설하러  와도 안 된다. 그럼 나 죽은 후에 오 는 거다.  그때까지 살면 어떻게 되느냐? 내  손(孫)들은 몇 백대 손이 늙어  죽을 때까지 내가 산다, 그건 말이  안 되겠지? 육신을 가지고 있으면 육신이라는 건  육 신의 윤리(倫理)가 있어.   그 윤리에 벗어나면 안 될  게고 육신을 위해서는 어느 한 도  손자 늙는 걸 보고 산다, 있을 수 없지만 이 많은 사람들의  신비를 개발해 가 지고 그 혜택은 봐야 하는 거, 그 혜택을 보여주는 것이 오늘 시작하는 거라.    오늘 시작하는데  이 오늘이 5천년 이후엔  우주에 우주촌이 창설되는 거, 전광체하고 같 이 사는 거. 신인들이  전광체하고 이웃에서 친구가 되는  날이 오는데, 오늘 오는   건 이거 지금 막연한 소리고, 또 오늘 세계에서는 이야기도 안 돼.    또 그 비밀 속 에 들어가면 그  어원이 전부 부족해 가지고 그 비밀을 말할 수 있는 말이 없어요. 내가 그 비밀을 말하게 되면 전광체라고 해서 여기서 예로부터 어원이 없는 말을 해 가지고 전광체라면 얼핏 알아듣느냐?  거 안돼요.   또 우주촌이 창설된다,그것도  또 안되고.신인세계가  개발이 된다,그건  우리가 귀신이란 말을 하고  신을 믿으니까 그건 할 수 있으나,  우주촌이란 말도 힘들고 전광체하고 이웃하고 산다 그것도 어 려워요. 그래서 이 신약이란  이 시작부터  귀신의 세계는 열린다  이거야.   그래서 이 신약을 가지고 먹고 사는, 병 고치고 이것만이 문제가 아니야. 앞으로 엄청난 시 간이 오기 때문에 그 시간 전에 내가 왔다 가는 건 정신 빠진 사람이 되고 마는 거 지. 문헌이  오늘까지 대단히 미달됐고 어원이 부족하고 내가 와서  어찌하느냐 이 거야, 어원이 있느냐? 그  우주의 비밀을 무한히 알고 있어도 말로는 표현해야 되지 도 않고 할 수도 없고.  
    인산학대도론
  •    生氣의 비밀 이용해 병든 인류 구제   내가 아는 것이 과연 거짓이냐? 그렇다면 이 세상에 가장 어려운 문제가 있을 거다. 하늘님은 무심하지 않다.   그 증거를 나는 죽을 때 세상에 전할 거다 그거지. 하늘님 이 무심치 않은 이유는 뭐이냐?  어려운 고비에는 가장 무서운  재주를 세상에 보내 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면 그걸 미리 보내 가지고 어려운 고비에 어떤 방법으로 대응하느냐 이 거야.   그래서 내가 모든  신(神)과 모든 영(靈),신령(神靈). 그  근 본을 자세히 알기 위해서 어떤 친구들이 처음으로 이  땅의 물리학의 박사들이 된다. 그래서 나하고 만나 가지고  이야기하다가 내가 말하는 것이 좀 지나치다는 말이 있 으면 이해가 안되니까 그럼 실지로 보여주마 하는 거이 뭐이냐? 이 땅엔  신수인 감로수(甘露水)가 있고 그  감로의 정(精)으로 화하는 분자가 천공(天空)에서 많은 생물을 화한다.   그러면  첫째 습생(濕生) 둘째 화생(化生)  셋째  난생(卵生) 넷째태생(胎生)인데.  이  속에서 감로정으로 화한 분자세계를   나는 보았다. 그러면 그 세계를 어떻게  이 세상에다 가르칠 수  있느냐? 그건  극도의 비밀이라. 그건  일러 주면 미쳤다는 소린 다 하기 쉬운데 받아들일 사람은  없었더라 이거야.   그러면 지구 에 혼자  남아  있는 내가 정신병자 노릇하지 않으면 안 되니 어려서부터 일을 해야 편한 거. 그래 한 세상을 일을  하고 늙어 죽어야 되는데, 그렇지만 내가, 무심치 않 은 하늘이 배려했는데 그래 말없이 살다 가야 되느냐? 숲  속에서 혼자 죽어야 되느 냐? 그건 안 된다 그거야.    무지(無知)는 어디 있느냐? 무신론자(無神論者)의  무지 라. 왜 무신론자는 무지하다고 봐야 되느냐? 자기가 숨쉬는  건  보이지 않아. 보이 지 않는 그 힘이 없으면  자기는 죽어.   그럼 보이지 않는 색소  중에 뭐이 있느냐? 산소(酸素)라는 건 볼 수 없고 산소  중에 억천만 분자가 있고 분자 중에는  전분 (澱粉)이 얼마든지 있는데, 그  무진장으로 흘러 댕기는 전분  속에서  살아 있는 인간이 그걸  부인한다? 그러면 얼마나 미련하냐?  또 분자가 도대체 뭐이냐? 내  몸 속에는 모든 신(神)이 있다.   신은 뭐이냐? 기운(氣運)을  따라서 통하기만 하는게 아니라,  존재한다. 그렇다면 신은 기운을 따라 존재하게 되어 있는데 모든 분자가 기운이 없으면 다 삭아버려. 그래서 이 우주공간의 기(氣)라는 건 가장 무서운 거라.     그 중에 죽을 '사'(死)자 사기(死氣)가 있고 날 '생'(生)자 생기(生氣)가 있는데 내 가 필요로  하는 건 앞으로 그  생기의 비밀을 이용해 가지고 죄 없는 인간이 죽어 가는 날이 오니[그들을 구제하는 것이다].   그건 이야기하질 못하는 이야기 중의 하난 데, 그건 뭐이냐? 해방된 것이 을유년(乙酉年)이다. 을유년인데,  우리 단군할아버지 는 병인생(丙寅生)이다.   왜 병인생이냐?  이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팔괘(八卦)중에 간괘(艮卦)가 있는데 간괘를  응해 가지고 거기에 육효(六爻)에 가서 병인(丙寅)이 나온다. 그러면 단군은  백두산에서 정기를 받아가지고   천상(天上)에서 내려오신 신인(神人)인데, 그가 왜 병인생이냐? 병인생  사시(巳時)냐? 그 증거는 나는 어려서 머리  속에서 그  양반 내려오는 걸 보고 그 양반 커가는걸 보고 생애를 다 보았기 때문에 내가 하는 말이오.   그래서 이  땅엔 아초[애초]에 우리 할아버지가  신인(神人) 이고 산은 삼신산(三神山)이 있고  인간은 신선,신인들이 있고  이래서 풀은  신초(神草) 가 있고 물은 신수(神水)가 있고  불은 신화(神火)가 있는데, 불의 신화는 설명중에 시간 문제가 너무 많아요.  그러니 앞으로 다음으로 미루고......
    인산학대도론
  •     神人,神仙,神藥의 땅 - 한반도    이야기란, 내가 생각하는 신약(神藥), 그  신약의 원리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신약이 있었다면 그건 어디까 지나 신약의 비밀은 세상에 전할 수 없다고  나는 보기 때문에, 그  신약의 비밀은 확실히 세상에 알 수  있도록 돼 있어요.    그 이유는 뭐이냐? 이 모든 지구의  산천 정기(山川精氣)가 모아지는 고원,서장고원(西藏高原)이나  네팔고원이 있는데  거기 모아지는 지구의 정기(精氣)는 산맥을 따라서  익힐 '숙'(熟)자, 숙기(熟氣)는 서쪽 으로 흐르고 그 정기  속에 날 '생'(生)자 생기(生氣)는 동으로 흐른다.  그러면 동 방은 생기방(生氣方)이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다 모아  오게 되면 결국 종말은 화 구(火口)에서  대기하고 있는 백두산(白頭山)에  와  모은다. 백두산은  하늘의 별  속에서 문곡성(文曲星)의 정기가 뭇 별의  정기를 담아 가지고 오는 곳이라.   그래서 거기서 무에[무엇이] 화(化)하게 되느냐? 지구에서 이뤄지는 산천정기, 땅에서 이뤄 지는 정기 그것이 백두산에 오게 되면 천상(天上)의 정기와 합해 가지고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물은 물 자체가 신수(神水)라. 귀신 '신'(神)자, 그걸  왈 감로정(甘露精) 이라 하고 그것이  모아서 나오는 걸  감로천(甘露泉)이라 해요.   그래서  난 감로천 을  댕기며[돌아다니며] 본 일이 있고,  새벽에 가서  감로천 물 먹어 본 일 있고,  맛이 다르다는 건 확실히  알았고. 또 이 땅에 신령 '령'(靈)자  영역(靈域)이 되고 신국(神國)이 되는 이유가 그건데.   그래서 그 정기가  모아 가지고 우리 나라의 신인(神人),단군 할아버지가 탄생하셨 고 그 이후에 산으로  말하면 삼신산(三神山), 귀신'신'(神)자 신산(神山)이 있고 사람으로  말하면 신선(神仙)이  있고 신인(神人),도사(道士) 대선사(大禪師)가  있고.   그래서 이  땅엔  신의 근본이  계승하는 걸 확실히 알 수가 있고. 풀로 말 하면 감로정으로 화해 가지고 색소(色素) 중의 분자(分子)가 화(化)할적에 산삼 (山蔘)이 되는데  그건 어려서부터 신초(神草)라.   어려서부터 짐승도 짤라 못 먹고 밟지 못해요.  사람이 지나가도 그건 못 밟게 돼 있어요. 그러면 신의  가호를 받 는 풀이 있다.  그래서 그 풀이 1백년이게 되면 동삼(童蔘),2백년 후에부터 완전히 신초라. 그래서 나는  산속에 오래 살며 그 삼캐는 이들 만나서 하는 것도 보았고.
    인산학신암론
  •   감로정 흡수해 영물되는 원리    甘露精 흡수해 靈物 되는 원리    이 땅에 신약(神藥)이  있는 이유가 신초뿐이 아니라.버럭지도 지네 같은 것이 이 땅의  모든 감로의 화(化)한 분자 속에서 호흡을  하게 되면 감로로 화한 분자 속에 서는 신의 힘과 영력이 앞서기 때문에 그걸 호흡으로 흡수하면 정신 모아 가지고 천 년 이상 가면 구름 속에 가서 살 수 있다.   그러면 지네나 독사나 버럭지도 그  감로 정으로 화한 분자 속에서는 천년 후에 구름  속에서 산다. 그런데 인간이 어떻게 천 지간의  영물이 돼 가지고 구름 속에서 살 수 있는 힘이 없느냐? 난 어려서부터 그 거이 내가 한 고민이라.   그건 이야기할 데도  없고  그런 이야기 해봤자 이 지구에 사는 사람으로서 충분히 이해하고 나하고  같이 협조할 사람이 없어. 그래서 난 박 사를  만난 사람이 생애에 수가 많아.   그러면  귀신의 세계를 나보다 더 잘 아느냐? 그렇지도 않아. 사람은 자기가 영혼분리(靈魂分離)의  심령공부를 해  가지고 자기 몸에 있는 영혼이 2m 이상에 나가면 심장은 굳어 버리니 죽어요. 그러면 2m 이내에 있으면 심장은  굳어지지 않으니 다시 회복돼요.     그래서 영혼을 분리시켜 가지고 그  혼을 전세계가 한꺼번에 볼 수가 있다.  그러면 육신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육 신은  앉은 그 자리에 하나 뿐이지만 그  영은 육신 밖에  나가는 때에는 억천만이 볼 수 있어.    이게 대체 뭐이냐?신의 세계다. 그러면 신의 위치에 공자님도 신무방 (神無方)이라고 했어. 신은 동방에 청제신(靑帝神), 그게 있을 수 없다 이거야.  신 은 어디까지나 우주에 하나인데 우주에  차  있어.   그래 불(佛)은 무소부재(無所不在)라. 부처님은 우주에 꽉 차 있는 양반이라. 그건 사람의  정신이 모아지게 되면 그 정신 속엔 전체를 다 볼 수 있어.    정신 모아진 사람은 천억이라도 부처님을 똑같이 한시[同時]에 봐. 그러기 때문에 부처님의 수는 한 군데 절에 모시면 절에 있는 그런 건 없어요. 또 내 몸에 있는 영혼이 내 몸  속에 있을 땐 내지만 육신을 두고 밖에 나가  있으면 6척(尺) 이내에서는 전세계가 한꺼번에 볼  수 있으니, 신의 세계는 그렇게 미묘하다.   그래서 깊숙할 '유'(幽)자 유명세계(幽冥世界)인데 그 유명세계에 들어가게 되면 그 비밀에 제한이 없기 때문 에,  그 비밀에 대한 제한을 나는 신약(神藥)이라, 이건 신의 세계를  창조한 후에 는 사람이 댕길 적에 비행기 타고 고생 안하고 구름  타고 마음대로 1초에 지구를 몇 회 돌 수 있는 그런 인간들이 되는 날이 오니까.   그 인간들이 되게  되면 그 뒤 에는 하늘에  우주촌(宇宙村)이 창설되는데 우주촌이 창설되게 되면  전광체 (電光體)라는 생물이 있어요.    이우주에는 번개 '전'(電)자 빛'광'(光)자 전광체가 있는데, 전광체라는 건 가스의 핵체(核體)라.   가스의 핵으로  이뤄진 체이기 때문에 그 빛이 번쩍하면 지구는 전부 재가 돼. 그래서 그 전광체는 어느 세계에서도 못 살 아. 사는 그 별나라 한 군데만 살 수  있어.
    인산학대도론
  •   <신약본초 동영상 게시판 운영 안내 > 도해닷컴은 저적권을 중요시 합니다. 자유롭게 모든 회원님들께서 감상 할수 있지만 저작권에 위배되는 내용은 게시 하실수 없습니다. '도해닷컴'의 게시물과 이미지등을 사전허가 없이 '컨텐츠'의 직,간접 변형 및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반드시 계약을 통한 서면 허가 절차가 필요합니다.    아래를 클릭하시면 도해닷컴 저적권 정책을 보실수 있습니다. http://dohae.com/helpdesk/etc03.asp   ※ 신약 본초 동영상을 만들어 주신 "인산가" 김윤세 회장님께 진심 으로 감사 드립니다.  
    인산학신약본초 영상
  • 신약 본초 동영상 올라 갑니다.^^
      너무나 힘든 작업 ...ㅜ.,ㅜ 회원님들 인산 할아버님의 말 말이 진리인 법문의 말씀이 긴 수정 작업 끝에 인산學--"신약 본초 동영상" 에 올라 갑니다.^^"   테이프 관리 소올로 살릴수 없는 테입도 있었 습니다..너무 가슴 아픈 일 입니다.허나 살릴수 있는 테입은 최선을 다해 복원 했습니다. 회원님들 많이 보시고 앞으로 올 공해 시대에 "인산學" 으로 더많은 내 가족 내 이웃 내 친척을 살리 세요.....^^" 감사합니다.
    증득의장도해사진첩
  • 신약 본초 동영상 올라 갑니다.^^
        너무나 힘든 작업 이었다...ㅜ.,ㅜ 회원님들 인산 할아버님의 말 말이 진리인 법문의 말씀이 긴 수정 작업 끝에 인산學--신약 본초 동영상에 올라 갑니다.^^"   테이프 관리 소올로 살릴수 없는 테입도 있었 습니다..너무 가슴 아픈 일 입니다.허나 살릴수 있는 테입은 최선을 다해 복원 했습니다. 회원님들 많이 보시고 앞으로 올 공해 시대에 "인산學" 으로 더많은 내 가족 내 이웃 내 친척을 살리 세요.....^^"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를 만들어 주신 "인산가" 김윤세 회장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고객센터공지사항
  •   <음성> 쑥뜸엔 반드시 영초(靈草) 약쑥을 써야 해요▒ ▒   그래서 약쑥으로 뜨라. 그저 주먹구구가 제일이니까.   무식한 상(常)사람이 돈을 벌지, 갓을 쓰고 댕기는 학자는 돈을 못 벌어요. 그래서 나는 덮어놓고 사람 살릴 수 있는 법은 그 육두문자(肉頭文字)로, 불로 막 지져라! 그 약쑥으로 뜨는 거야. 이건 육두문자야.   불로 막 지져 붙이는 거이 오늘 현실엔 좋은 묘법이라고 해도 돼요.     그래서 내가 답답하면서도 무지하게 놀아야만 되겠구나 하는 거이 그 책에다가 뜸법을 내는 거라. 그렇게 무지하게 놀지 않고 좋은 선약(仙藥)을 만들면 좋은 줄 알아요.   나도 인간인데 그거 남이 힘들어서 죽어 가는 거, 그걸 눈으로 어떻게 보느냐? 그렇지만 그 생명을 구하고 봐야 한다 해서 그런 걸 책으로 써요.     구법(灸法)을 쓰는데, 그 약쑥의 비밀은 한이 없어요. 여기 지금 지방에 살아 있는 사람 중에 약쑥을 사용하면 뭐 하느냐? 그거 떡 해 먹는 떡쑥이 있는데,   그놈을 말리어서 뽛아(빻아) 가지고 팔에다 뜨고서 지금 30대 청년이 팔을 못써요. 힘줄이 굳어지고 신경은 마비돼 버리고. 그래서 팔을 못쓰고 한쪽 팔이 아주 굳어 있는데, 그거이 저 전라남도에 있어요.     그것도 봤고, 우리 자식놈하고 아는 사람인데, 그래서 그걸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까 하기에, 그건 진짜 약쑥으로 고치는데 그건 속하게는[속히]못 고친다, 이거고. 또 인진쑥[茵蔯篙]이라고 있는데 인진쑥도 쑥이 아니냐?   그걸로 중완(中脘)에 뜨구서리, 화독(火毒)이 심장에 들어가 죽어 버렸으니 그건 병신 될 시간도 없어.   그걸 나는 보고 인간의 미련이 이렇구나, 내 약쑥은 신령 ‘령’(靈)자 영초(靈草)인데 그렇게 사람을 죽이진 않아요. 만병(萬病)을 치료해도 안 죽여요.     그래서 세상엔, 이렇게 모르는 사람세계엔 저렇게 죽어 가는 사람도 있구나 하는 걸 내가 눈으로 보고, 지금 병신 되어 산 사람, 또 중완에 뜨다 죽은 사람, 그럼 이건 반드시 세상은 가르쳐야겠구나 하는 거이 절실해요.     여러분이 아무리 훌륭해도 배우지 않으면 안된다.   전생(前生)에 각(覺)을 하고 오면 금생(今生)에 날 바람에 환히 아니까, 그 사람의 머리엔 글도 있고 우주의 비밀도 있고. 다 있는데 그걸 이용할 수 있느냐? 그건 세상에 가게 되면 스루스루 되는 거인데.
    증득의장영구법
  • 본초(本草)의 기초지식
    본초(本草)의 기초지식      1. 본초의 성능(性能)   ▷ 질병 치료의 기본 원리 ① 병사의 제거 ② 병인의 제거 ③ 장부 상호간의 기능적인 협조 유발 ④ 음양의 편재 제거와 과부족의 조정 *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최고의 상태(태극 현상)를 만들어 주는데 있음.   ▷ 한약의 성능 ① 한약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능력을 성능(性能)이라고 한다. ② 사기(四氣), 오미(五味), 승강부침(昇降浮沈), 귀경(歸經), 칠정(七情) 및 독성(毒性)의 유무 등.     2. 사기(四氣)와 오미(五味)   (1) 四   氣 四氣란 약물을 인체에 투약했을 때 인체가 나타내는 반응을 가리키므로 병성(病性)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온열약(溫熱藥)과 한량약(寒凉藥)   ①온열약 - 장부 경락을 따뜻하게 하는 약 - 정(正)의 효과: 혈색이 좋아진다, 목소리에 힘이 있다, 다뇨 및 빈뇨가 낫는다, 식욕이 생긴다. 설사가 낫는다 등. - 부(負)의 효과: 부스럼이 생긴다, 잠이 오지 않는다, 눈꼽이 낀다, 소변을 잘 보지 못한다, 변비가 생긴다 등 - 긴장, 흥분, 항진, 강심, 충혈, 보온, 조혈, 염증 발현 및 조혈 효과가 있음. ② 한량약 - 장부 경락을 차게 하는 약 - 정(正)의 효과: 얼굴에 붉은 기가 없어진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식욕을 억제시킨다, 부스럼을 낫게 한다, 잠을 잘 오게 한다, 눈꼽이 끼지 않게 한다, 변비를 낫게 한다 등. - 부(負)의 효과: 다뇨나 빈뇨가 생긴다, 밥맛이 없다, 설사를 한다, 대하가 생긴다, 냉증이 나타난다 등. - 완화, 진정, 쇠퇴, 산혈, 산열, 위축, 소염, 강압 및 심장 기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 ★ 온열약은 교감신경 작동성 약으로,    한량약은 부교감신경 작동성 약으로 해석할 수도 있음. ★ 한(寒)과 량(凉), 온(溫), 열(熱)은 상대적인 것으로 정도의 차가 있을 뿐이고 본질적인 차이는 없음. ★ 평(平)은 한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대부분 작용이 완화한다.   (2) 五味( 五色 )   藥物이 가지고 있는 酸,苦,甘,辛,鹹 5種의 味로 各各의 味는 서로 다른 作用을 갖는다. 오미(五味)도 음(陰)과 양(陽)의 어느 한 쪽으로 분류됨.    + 신(辛), 감(甘), 담(淡) : 양(陽)    |    + 산(酸), 고(苦), 함(鹹) : 음(陰)   1) 오미(五味)의 작용 ⊙ 신(辛)- 산(散), 행(行) : 發散, 行氣, 行血            마황, 박하, 자소 등의 표증약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예외) 생강(辛溫)-산한, 목향(방향성)-행기, 홍화(어혈제)-활혈 ⊙ 감(甘)- 보(補), 화(和), 완(緩) : 補益, 和中, 緩急           인삼,황기는 보기, 숙지황은 보혈로 보허약이나 강장약의 작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          예외) 감초-화중, 완급지통, 완화약성, 완해독성. ⊙ 산(酸)- 수(收), 삽(澁) : 수렴, 固澁            오미자는 수렴지한에, 오배자는 삽장지사에 그리고 금앵자는 삽정지유에 쓴다. ⊙ 고(苦)- 설(泄,降,瀉), 조(燥), 견(堅) : 淸熱, 瀉下, 瀉火, 燥濕, 降逆       -설: 대황-통설-열결변비(熱結便秘), 행인-강설-해수,             치자-청열-열성심번(熱盛心煩)       -조(濕證): 寒濕-溫性인 고미약-창출, 溫熱-寒性인 고미약-황련       -견(음을 견실하게 해줌) : 腎陰의 휴손에 의한 陰虛火旺-황백, 지모   ⊙ 함(鹹)- 하(下), 연(軟) : 軟堅, 散結, 瀉下            망초-연견사하, 모려-소견, 소나력, 담핵 ※ 일반적으로 담미(淡味)는 甘味로 분류되고, 삽미(澁味)는 酸味로 분류함. ⊙ 담(淡)- 삼(渗), 이(利) : 渗利水濕, 通利小便            복령, 저령- 水腫, 小便不利 ⊙ 삽(澁)- 수렴고삽(收斂固澁)           용골-허한, 설사, 빈뇨, 滑精, 출혈 등,             모려-澁精  적석지-澁腸止瀉   2) 오미의 기원 - 반드시 味覺에 의한 것이 아니고, 약물에 대한 인체의 반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함.    예) 오미자는 酸,苦,甘,辛,鹹의 오미가 있지만 약으로서의 맛은 산(酸)임. - 약물의 성능을 이해하려면 기(氣)와 미(味)를 참조해야 함.    예)  마황과 세신: ━┳━공통점 : 辛溫-해표산한(解表散寒)                                ┃                                               ┗━차이점 : 마황-진해,  세신-진통 - 氣味가 다르면 효능도 다르다. - 氣가 같지만 味가 다른 약물은 효능 또한 다르다.     예) 산수유, 행인, 황기, 자소 : 온성약(溫性藥)          차이점 : 산수유-산온(酸溫)-固精澁尿, 행인-고온(苦溫)- 降氣止咳                      황기-감온(甘溫)-益氣固表,   자소-신온(辛溫)-解表理氣 - 味가 같더라도 氣가 다르면 약물의 효능도 다르다.     예)박하, 소회향  ┏ 공통점:신미약(辛味藥)                             ┃                             ┗차이점:박하-신량(辛凉)-해표(解表)-풍열(風熱)의 발산                                소회향-신온(辛溫)-이기산한(理氣散寒)    애엽, 고삼 : ┏ 공통점 :고미약                      ┃                      ┗차이점:애엽-고온(苦溫)-거한지혈(祛寒止血), 溫經止血                          고삼- 고한(苦寒)- 청열조습(淸熱燥濕) - 약물에 따라서는 한 가지 약물이 여러가지 味를 가진 것이 있다. 예) 당귀- 성온(性溫)이고 미는 신감(辛甘)이다.       甘으로 혈을 윤양(潤養)하고 辛으로 조혈(造血)하게 함.    육종용- 性溫이고 미는 甘酸鹹이다.       甘으로 조양(助陽)하고, 酸과 鹹으로 精과 血을 자양(滋養)함. - 귀경(歸經) 內經: 산(酸)-간(肝), 고(苦)-심(心), 감(甘)-비(脾), 신(辛)-폐(肺), 함(鹹)-신(腎) - 음양의 편재와 과부족의 치료 예) 신미(辛味)- 폐기(肺氣)의 울(鬱)을 산(散)함.    감미(甘味)- 비위(脾衛)의 허(虛)를 보(補)함    간(肝)에 들어가는 약은 식초를 사용해서 굽고,    신(腎)에 들어가는 약은 소금물로 구우면 작용이 강화된다.         3. 승강부침(昇降浮沈)   (1) 개 요 많은 藥物은 藥에 따라 昇降浮沈의 作用이 있어 昇은 위로 상승을 하고 降은 아래로 하강을 하며 浮에는 발산의 뜻이 있고 沈은 渗利의 意味를 지닌다. ① 昇 浮 : 昇陽, 發表, 散寒, 宣通 등의 작용 ② 降 沈 : 降逆, 潛陽, 瀉下, 渗利 등의 작용 - 병이 체표 근처에 있거나 비교적 상부에 있을 때 승부의 약물을 쓰는 것이 좋다.: 표증(발열, 脈浮)- 발산약- 형개, 박하 - 병이 비교적 하부에 있을 때와 내부에 있을 때 침강의 약물을 쓰는 것이 좋다.: 이실증(복창, 변비 등)- 침강약- 대황, 지실 등.    - 상역(上逆)하는 경향(딸꾹질, 천식 등)이 있으면 강역(降逆)작용이 있는 대자석, 선복화 등을 쓴다. - 하함(下陷)하는 경향(오랜 설사에 의한 탈항, 자궁탈수 등)이 있으면 시호, 승마, 갈근 등 승제약(昇堤藥)을 쓴다.   (2) 승강부침의 파악 방법 ① 약물의 性味에 의해 식별하는 방법 - 온열약 중 味가 辛 또는 甘이면 대개 昇 또는 浮의 작용이 있다; 마황, 형개 - 한량약 중 味가 苦이면 대개 沈降작용이 있다.; 대황, 망초 - 예외도 많다.;       시호는 한량약에 속하고 味가 苦이므로 침강 작용이 있어야 하지만, 소간해울(疎肝解鬱)작용이 있어서 肝氣를 조달하고, 膽氣를 부드럽게 한다. 또한 간의 淸陽의 氣는 상승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시호는 淸陽을 昇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② 약물 材質의 輕重에 따라 식별하는 방법 - 가벼운 것은 승부에 속한다.; 국화, 상엽, 연교, 상지와 같이 꽃, 잎, 껍질, 가시 등에서 얻은 재질이 가벼운 것. - 무거운 것은 침강에 속한다.; 소자, 지각, 자석, 석결명과 같이 종자, 과실, 광석, 조개 껍질 등 재질이 무거운 것. - 예외도 있다.; 선복화는 강기작용이 있으나 사용 부위가 꽃인데도 승부(昇浮)작용은 없다.                         창이자는 통규발한(通竅發汗)작용과 산풍거습(散風祛濕)작용은 있으나 용부가 과실인데도 침강작용은 없다. ③ 승강부침 작용 또는 변화 - 수치법(修治法)에 따라; 술-승제(昇堤)작용의 강화,  식초-수렴작용의 강화,                                      생강즙-발산(發散)작용의 강화,  소금-하행(下行)작용의 강화 - 배합하는 방법에 따라; 많은 승부 약물에 침강 약물을 배합하면 침강약은 승부 약물의 힘을 약화시키거나 없애며, 동시에 침강 약물의 침강 작용도 소실됨.  여러 가지 침강 약물에 승부 약물을 배합하면 승부약은 침강 약물의 침강 능력을 감약시키거나 없애고 동시에 승부약도 승부 능력이 소실됨. - 인경약을 佐使藥으로 배합함; 길경-승제,  우슬-하행   4. 藥物의 귀경(歸經)   - 약물이 작용하는 경락(經絡)을 가리킴 - 장부 경락의 이론과 약물의 생체에 대한 반응을 종합하여 얻어낸 것임. 예)  마황-폐경(肺經)- 진해, 거담.      단삼-심경(心經)- 심혈의 어조(瘀阻)를 없앰.      백출-비경(脾經)- 脾의 氣를 보함.       천마-간경(肝經)- 肝風을 진정함.       현삼-신경(腎經)- 腎陰을 자양함. - 대부분의 약물은 하나의 장부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효능으로 볼 때 몇 개의 장부에 동시에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예) 숙지황- 자음, 보혈; 心은 血을 다스리고, 肝은 血을 臟하며, 腎은 陰精을               臟한다는 이론으로 유추해 볼 때 숙지황은 심경,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황기- 보기 건비약; 肺는 氣를 주관하고 脾는 氣血을 만들고 키우는               곳이라는 점에서 황기는 폐경과 비경에 작용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약물의 성능이 다르면 같은 장부에 작용하는 약물이라 하더라도 주치하는 증상이 다르다. 예) 폐경에 작용하는 약물; 정력자-폐수(肺水)를 瀉함. 황금-폐화(肺火)를 瀉함.                                행인-폐기(肺氣)를 강하게 함  황기-肺氣를 보함. - 성질이 같은 약물이라도 주치증(主治證)이 다르면 작용하는 장부가 다르다. 예) 청열약(淸熱藥); 적작약-양혈행혈(凉血行血)- 肝經,                      대청엽-청열해독(淸熱解毒)- 心經, 胃經                    현삼-자음강화(滋陰降火)- 腎經, 肺經, 胃經    - 실제 임상에서는 약의 성능과 장부의 경락 이론과의 관계를 잘 파악하여 처방을 응용하여야 한다. 예) 肺의 병증;      담화(痰火)에 속하는 것-肝經에 들어가는 사하약(瀉下藥)을 배합.      습담(濕痰)에 속하는 것-脾經에 작용하여 제습담(除濕痰)약을 배합.   5.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1) 개 요 - 용약의 법칙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조합하여 약물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하여 기대한 만큼의 치료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예) 황련-목향; 향련환- 세균성 하리에 의한 이급후중(裏急後重)     황련-오수유; 좌금환- 간염에 의한 복통과 탄산     황련-육계; 교태환- 심신불교(心腎不交)에 의한 불면증 ☞ 이와 같이 성미는 하나이지만 배합하는 약물에 따라 주치도 달라진다.   (2) 배합 방법과 금기에 관한 규칙 - 칠정(七情)은 경험적으로 내세운 약물 배합의 법칙임. ① 單行 : 한가지의 藥物로 疾病을 治療하는 것. (例) 獨蔘湯 ② 相須 : 效能이 類似한 藥物을 配合했을 때 協同作用을 일으켜               原來의 功效를 增加시키는 것.- 지모 + 황백 ③ 相使 : 藥性이 다른 2種의 藥物을 配合하여 한 種의 藥物이               主가 되는 藥物의 功效를 增大시키는 것.- 황기 + 복령 ④ 相畏 : 藥物을 合用하여 한 藥物의 毒性이나 烈性反應이               다른 藥物의 抑制 作用으로 減少되는 것.- 반하 + 생강 ⑤ 相惡 : 藥性을 合用시 相互 牽制하여 藥物의 作用을 減少시키는 것.               - 생강 + 황련 ⑥ 相殺 : 한 藥物이 다른 藥物의 毒性을 없애는 것.               -방풍 + 비소, 감수 + 대추    ⑦ 相反 : 藥物을 合用後 人體가 强烈한 毒性反應이나 副作用을 일으키는 것.               - 오두 + 반하  - 십팔반(十八反)(相反의 약물은 18종)과 십구외(十九畏)(相畏의 약물은 19종) 등도 정리됨-절대적 아님. ※  [ 配伍禁忌 ] ☞ 十八反 -- 烏頭反 半夏,瓜蔞仁,貝母,白렴(희렴).                    甘草反大戟,甘遂,海藻,원花.                    藜蘆反五蔘(人蔘玄蔘,丹蔘,沙蔘,苦蔘),細辛,芍藥. ☞ 十九畏 -- 硫黃畏 芒硝, 水銀畏 砒霜, 狼毒畏 密陀僧,巴豆畏 牽牛                   丁香畏鬱金, 芒硝畏 三稜, 川烏 草烏畏 犀角,                   人蔘畏五靈脂, 肉桂畏 赤石肢.        (3) 배합의 기본 ① 약물의 장점이 발휘될 수 있도록 처방한다. 예) 빈랑의 구충(驅蟲)작용- 남과자를 배합하면 구충효과가 증강됨. (相須) 자소엽과 곽향(相使) : 공통점- 해표(解表)작용 -차이점┏자소엽;이기(理氣)작용이 뛰어남- 감기에 의한 흉민(胸悶), 해수        └  곽향; 화습(化濕)작용이 뛰어남- 감기에 의한 토사(吐瀉) ② 서로 촉진작용이 있는 약물을 파악해 두어야 한다. 예)  천문동과 맥문동 - 윤폐생진(潤肺生津),       지모와 황백 - 자음강화(滋陰降火),       금은화와 연교 - 청열해독(淸熱解毒),       부자와 육계 - 인화귀원(引火歸源) ☜ 相須에 대한 좋은 예       황기와 당기 - 익기생혈(益氣生血),         대황과 지실- 행기통변(行氣通便),       작약과 감초- 완급지통(緩急止痛) ☜ 相使의 좋은 예 ③ 약물이 서로 억제하는 작용을 이용한다. 예) 생강은 반하의 독성을 억제하므로 두 약을 배합하면 강역지구(降逆止嘔)의 작용이 증강됨.☜ 相畏  대추는 감수의 독성을 약화시키므로 감수와 같이 쓰면 감수의 위장 작용을 완화시켜 수음(水陰)을 몰아낼 수 있음.☜ 相殺 ④ 장부의 특징과의 관계를 이용한다. 예)ⓐ 구기자는 肝과 腎을 자보(滋補)하는 작용이 있다.   신음(腎陰)의 자양- 숙지황, 간혈(肝血)의 자보- 당귀 ⓑ 지모는 폐와 신에 작용하여 자음강화(滋陰降火)하는 작용이 있다.   신화(腎火)의 사화- 황백 -  사화견음(瀉火堅陰)     폐화(肺火)의 사화- 맥문동 -자음윤조(滋陰潤繰) 본초(本草)약성(藥性)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 산물인 식물 및 광물성·동물성 산물 중에 서 인체의 질병 치료에 원형대로 건조하거나 간단히 가공하여 치료제 로 사용하는 모든 약재를 본초라고 한다. 이것은 한의학에서 그 사용되는 약물 중에서 초본 식물과 목본 식물 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오대 촉(五代 蜀)의 한보승(韓保昇)은 “약에는 옥석(玉石), 초목(草木), 충수(취獸)가 있으나, 본초라고 부르는 것은 모든 약 중에 초류가 가장 많기 때문 이다.”라고 하였다. 한의학계에서는 이러한 약재들의 기원 기미(氣味), 채집, 특징, 효 능, 감별, 법제(法製) 방법 등을 연구하는 학문을 본초학(本草學)이라 한다. 한편, 식물성인 풀 뿌리, 나무 껍질, 꽃, 과일, 종자와 동물성인 곰 쓸개(웅담:熊膽), 소담석(우황:牛黃) 등처럼 약에 그대로 쓰거나, 제 약(製藥)의 원료가 되는 천연 산물을 생약(生藥)이라 하며, 이에 대 해 연구하는 학문이 생약학이다. 이것은 하나의 성분 분석과 화학 기 호를 중심으로 하여 연구하는 서양 약학의 생약과 구분된다. 그런데 고대 의서에 기록된 한약물들은 대다수가 본초(本草)라고 했 는데, 이는 수록된 약물 중 식물류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서적으로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이시 진의 。본초강목(本草綱目)。 등 중국에서 출판된 것들과, 。향약본 초(鄕藥本草)。, 。동의보감(東醫寶鑑)。, 。신씨본초학(申氏本草學) 。 등 우리 나라에서 출판된 것들이 많다. 약초(藥草) 대개 질병 치료와 예방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총칭하여 약초 또는 약 물이라 하는데, 현재 한의학에서 응용하고 있는 약물은 천연적인 약, 그로부터 조제한 약과 인공적으로 제조된 것들이 있다. 약물 중에는 생물체와 무생물체가 있는데, 생물체 전체나 일부분 또 는 그 산출물이나 분비물을 채취한 것으로 단순한 가공이나 정제를 하지 않은 순수한 것을 생약(生藥)이라 한다.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 생약은 주로 식물성 생약으로서 뿌리[根], 알뿌리[根莖], 나무 껍질[樹皮], 잎[葉], 꽃[花], 열매[果實], 씨[種子] 와 옹근풀[全草] 등이다. 우리가 보통 생약이라고 하는 것은 광물성 약물을 포괄하지 않고 있 는데, 생물약학(生物藥學)은 과학적 방법으로 식물성이나 동물성 생 약의 기원, 생산, 감별, 성분, 효용 등을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한약은 식물류, 동물류, 광물류의 3종류로 크게 분류하는데, 그 중 식물류의 약물이 절대 다수이며, 이들은 대부분 가공·정제되지 않은 것들이다. 당용천의 。본초문답。에는 사람이 병에 걸리면 약을 먹어서 병을 고칠 수 있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문답으로 풀이하였다. <물음> 한의학에서 약물로 이용하는 것들은 곤충·짐승의 동물성, 흙 이나 돌같은 광물성, 풀 뿌리 또는 나무 껍질 같은 식물성의 것들로 서 사람과는 다른 종류의 것인데, 이것들로서 사람의 질병을 고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답> 천지란 다만 음양일 뿐이다. 이 음양의 두 기운이 변화를 거쳐 오행과 육기가 이루어진다. 사람은 천지를 근본으로 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오행과 육기의 기운이 어우러져야 오장육부가 생겨나게 된 다. 뭇 사물이 사람과는 다르다고 하나 천지의 어느 한 기운에 근본 을 두지 않고서는 발생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사물은 어느 한 기 운이 치우친 상태이며, 사람은 천지의 기운이 온전하게 균형을 이룬 상태이다. 그런데 사람 몸의 기운이 음양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균형을 잃게 되면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음양의 기운이 치우 친 것인데, 이때 약물은 우리 몸의 불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약성이란 이처럼 약물로 사용되는 물질의 성질을 의미하는 것이다. 약의 성질은 뜨거운 것, 더운 것, 차가운 것, 서늘한 것으로 나눌 수 있고, 맛도 차이가 있으며 이들은 신체에 각각 다르게 작용한다.   신토불이(身土不二) “사람의 몸과 풍토(風土)는 각각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다른 말 로 의토성(依土性)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어떤 특정한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은 그 지역의 기후, 토양, 음식물 등에 오랫동안 영향을 받아 그 지역에 맞는 특수한 체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체질은 바로 그 지역의 기후나 음식물이 몸에 가장 유익(有益)하고 편하며, 다른 지역에서 나는 음식물이나 기후는 체질에 맞지 않아 때때로 몸에 이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렇게 사람은 지역의 풍토와 상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만약에 다 른 지역을 여행하다가 기후나 음식에 적응하지 못하면 때때로 질병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풍토병(風土病)이라 하며,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고향으로 돌아가 몸에 맞는 기후에서 몸에 맞는 음식물을 섭 취하는 것이다. 약도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에서 나는 약이 다른 어떤 나라의 약재 보다 우리 몸에 휠씬 이롭고 효과가 좋다. 일찍부터 이를 인식한 우 리 조상들은 우리 약재 개발에 힘써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니, 이를 향약(鄕藥)이라 부른다. 약식동원(藥食同源) 약식동원은 질병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약물(藥物)과 일상적으로 섭 취하는 음식물(食物)의 근원(根源)이 동일하다는 뜻이다. 약물, 특히 한약재로 쓰이는 자연계의 동물질·식물질·광물질은 실험실이나 공 장에서 생산되는 인위적인 양약(洋藥)과는 달리 절대 다수가 자연계 에서 얻어진다. 이처럼 약물과 음식물은 그 근원이 자연계에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좀더 전문적으로 살펴보면, 질병 치료시 약물이 아닌 음식물 을 장기간 사용하는 이른바 식이요법(食餌療法)을 가리키는 뜻으로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는 말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약의 성능과 음식물로서의 성능이 공존하여 필요에 따라 음식물로 섭취하 기도 하고, 약물로 복용하기도 하는 이른바 약용식물(藥用食物)을 의 미하는 것이다.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약용 식물(藥用食物)에는 칡뿌리(갈근) ·옻(건칠)·다시마·김(해태))·도라지(길경)·은행(백과)·흰겨자( 백개자)·산딸기(복분자)·더덕(사삼)·마(산약)·오디(상심자)·쑥( 애엽)·연뿌리(우절)·율무쌀(의이인)·붉은 팥(적소두)·파 흰뿌리( 총백)·마른 밤(건율) 등이 있다. 도라지를 예로 들어 보면, 무쳐서 반찬으로 해먹기는 하되 일반적으 로 무슨 약효를 기대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라지를 약재인 길경(桔梗 )으로 쓰면 목구멍이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기침을 멎게 하며 가래를 삭혀주는 등의 약효를 나타내는데, 현대 약물학에서도 항염증, 항궤 양, 해열, 진통, 진해, 거담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라지 나물을 먹고난 후 목 의 가래가 없어지고 가슴이 트이는 것 같은 느낌을 가졌다면, 이것은 도라지를 단순히 하나의 반찬이 아닌 약으로 먹은 것이 된다고 할 수있다. 단, 음식물은 약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반대로 어떤 약이든지 음식 물로 쓰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법제(法製) 한약으로 쓰이는 약물은 대부분 자연계의 식물·동물·광물 등의 원 생약(原生藥)인데, 이들을 채취하여 약으로 쓰기 위해서는 법제라고 하는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법제를 해야하는 이유는, 첫째 약으로 쓰이는 부분에서 불필요한 잡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둘째 부피가 너무 크거나 질이 단단하여 그 대로 쓸 수가 없으므로, 셋째 독성이나 자극성이 있어서 직접 복용하 면 오히려 해를 끼칠 수가 있어서, 넷째 변질되기 쉬워서 장기간 보 존하기가 불리하므로, 다섯째 좋지 못한 냄새나 맛을 제거하기 위해 서, 여섯째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거나 그 효능 자체를 다른 것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등이다. 법제는 크게 물에 의한 처리와 불에 의한 처리 및 물·불에 의한 공 동 처리로 나눌 수 있다. (1) 물에 의한 처리 -. 물로 흙이나 잡물질을 씻어 내는 것 -. 다량의 물에 반복해서 담가 냄새와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 -. 독성(毒性)이나 자극성 있는 약물을 다른 약을 끓인 물에 담가 그 성질을 완화시키는 것 -. 약물 위에 물을 뿌려서 절단하기 쉽게 하는 것 -. 잘게 부순 약물을 물에 넣고 휘저어 가라앉은 것을 반복적으로 취 하는 것 등이 있다. (2) 불에 의한 처리 -. 강력한 화력으로 직·간접으로 구워서 부서지기 쉽게 하는 것 -. 남비에 넣고 가열하여 일정한 정도로 볶는 것 -. 강력한 화력과 신속한 조작에 의해 약물의 부피를 팽창시켜 부서지 기 쉽게 하는 것 -. 약물을 뜨거운 재[灰] 나 밀가루 반죽, 종이 등으로 싸서 가열하 는 것 -. 꿀·술·초·소금물·생강즙·우유 등을 약물에 침투시켜서 볶는 것 -. 약한 불로 가열 건조시키는 것 등이 있다. (3) 물과 불에 의한 공동 처리 -. 수증기로 찌는 것 -. 물을 넣고 삶는 것 -. 구워서 뜨거워진 약물을 식초나 약을 끓인 물에 집어 넣어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는 것 등이 있다. 구증구포(九蒸九曝) 한약은 대부분 생약으로 산과 들에서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에 적절 히 자르거나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지만, 일부 생약은 약의 작용을 강 화 또는 완화하기 위해, 딱딱한 것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불필요한 것이나 독성의 제거를 위하여 다른 물질(예 : 꿀, 소금물, 술 등)과 같이 볶거나 담그거나 태워서 쓰기도 하고, 때로는 특수 가공 처리를 한다. 특정한 수치(修治)로 처리를 하는데, 이것은 수치법에 따라서 약리 작용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치는 우리들이 식생활에서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하여 식품 을 그대로 섭취하는 것도 있지만, 육류를 굽고 데쳐서 먹는 것과 같 은 이치이다. 즉, 수치란 일명 포자(포炙)라고도 하며, 한약 조제의 한 분과로서 약물을 조제하기 전이나 각종 약제 형태로 만들기 전에 가공하는 과 정으로서 약재(藥材)에 대한 일반적인 손질과 비교적 복잡한 기술이 포함된다. 목적에 따라서 많은 종류의 수치 방법이 있는데, 그 중 약물을 시루 에 넣고 솥에 물을 약간 채워서 그 솥 위에 시루를 얹어 놓고 약(弱) 한 불로 가열하는 것을 증(蒸)이라 하며, 약물을 햇빛에 건조시키는 것을 포(曝)라 한다. 따라서, 구증구포(九蒸九曝)란 아홉 번을 ‘증(蒸: 찌는 것)’하고 아홉 번을 ‘포(曝: 햇빛에 말리는 것)’하는 것이다. 구증구포는 숙 지황 등의 수치 방법으로, 생지황을 술에 담거가며 솥에 물을 약간 채워서 넣고, 약한 불로 가열하여 찌고, 그늘에서 말리는 과정을 아 홉 번씩 반복하는 것이다. 보약(補藥) 보약이란 선천적 허약 및 인체의 생리 기능 부조화 현상으로 생긴 허약 상태와 병후의 쇠약을 보강하고, 체질을 보강할 뿐 아니라 인체 의 능동적 자기 방어력을 북돋우는 약물의 총칭, 또는 이런 약물로 복합 구성된 처방, 즉 보제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한의학 특수 용 어 중 하나다. 보약은 어떤 병원체인 항원에 대하여 체력, 즉 항체를 길러 줌으로 써 질병을 이겨내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므로 예방 의학적 특성이 강 하다. 따라서, 보약을 보건제(保健劑)로 인식하는 것은 잘못이다. 임상 관찰과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보약은 전신 세포의 신진대사 과정 에 작용하여 그 기능을 항진시키면서 쇠약해진 체력 회복, 부신피질 기능의 조절, 에너지 대사의 조절, 생장 발육의 촉진, 저항력의 증강 및 조혈 기능을 촉진할 뿐 아니라 골격근의 긴장을 증강시켜 활력을 불어넣는 작용이 있음이 인정된다. 보약은 작용의 강약에 따라 강력한 보약과 완만한 보약으로 분류되 며, 주된 작용을 기준하여 체내의 기능적 물질의 결핍을 채우는 보양 (補陽)약, 체내의 구조적 물질의 결핍을 보충하는 보음(補陰)약, 에 너지를 충족시키는 보기(補氣)약, 혈액을 늘리는 보혈(補血)약으로 분류된다. 흔히, 허리와 무릎이 냉하며 아프고 힘이 없으며 소변이 잦을 때는 보양을 하고, 가슴이 뛰고 건망증이 심하며 잠못 이루거나 꿈이 많고 귀울음이 있으면 보음을 하고, 말소리에 힘이 없고 팔다리가 나른하 며 소화도 안 되고 숨이 차며 얼굴이 창백하고 피로가 심하면 보기를 해야 하며, 어지럽고 눈도 어찔거리고 입굴이 창백하고 피로가 심하 면 보기를 해야 하며, 어지럽고, 눈도 어찔거리고 입술이나 손톱이 창백하고 숨이 찰 때는 보혈을 한다. 환약(丸藥) 환약(丸藥)은 한약의 엑기스 및 약재를 가루로 하여 꿀, 밀가루, 풀, 물, 술, 식초, 밀랍(蠟), 쌀풀(미음) 등으로 둥그런 형태로 만든 후 에, 일정한 크기의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하기 편리하게 한 것이다. 환약은 딱딱하고 쉽게 용해되지 않아 치료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며, 신체의 기능을 서서히 보강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신체의 마비 된 부분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크다. 한편, 너무 독이 많아 끓이거나 가루로 사용하기 어려운 약은 환약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물이나 떡처럼 쪄서 환약을 만든 것은 그것이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주로 신체 윗부분의 질병 치료에 쓰이고, 밀가루나 쌀로 만든 것은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신체 아랫부분의 질병 치료에 주로 사용되 며, 술이나 식초를 이용하여 환약을 만든 것은 수렴·확산의 성질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환약의 크기는 신체 아랫부분의 질환 치료용은 크게, 소화기 장애 치료용은 녹두알 크기로, 신체 윗부분 질환 치료용은 아주 작은 쌀알 크기로 만든다. 고약(膏藥) 고약은 피부상에 부착하여 그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약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한약제의 한 형태이다. 대개 피부나 점막 의 염증, 궤양, 상처, 종기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정한 부위에 붙여서 외과병을 치료하는 데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부은 것을 삭히고 아픔을 멎게 하며,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출혈을 멈추는 등의 작용을 한다. 고약은 대체로 한약재를 가루내어 기름을 넣고 졸이거나 기름, 물, 가루풀, 술 등과 섞어서 만든다. 고약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주 원료에 따라 황랍고와 황단고로 나눌 수 있다. 황랍고는 꿀을 가열하여 녹이고 기름(돼지 기름, 참기름, 해바라기 기름 등), 송진, 기타 약가루를 넣고 잘 저어 고루 섞어서 만든다. 황단고는 참기름을 비롯한 식물성 기름에 황단을 넣어 만든 점착성이 센 검은 고약이다. 고약이 보관 중에 굳어진 경우에는, 붙일 때에 데워서 녹혀야 한다.
    한의학본초약제
  • ※ 신약 본초 미공개 자료 곧 올라 갑니다. 비디오 자료는 경방원 최동순 사장님이 도해 닷컴에 올리도록 자료 제공.감사합니다. DVD 영상 작업 성공.
    증득의장도해사진첩
  • <신약 본초> 운영 안내
      < 신약본초 게시판 운영 안내 >이 게시판은 특성을 살려서 회원님들께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면 모든 회원님들께서 올려주시면 됩니다.도해닷컴은 저적권을 중요시 합니다.자유롭게 모든 회원님들께서 등록하실수 있지만 저작권에 위배되는 내용은 게시 하실수 없습니다.'도해닷컴'의 게시물과 이미지등을 사전허가 없이 '컨텐츠'의 직,간접 변형 및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반드시 계약을 통한 서면 허가 절차가 필요합니다.  아래를 클릭하시면 도해닷컴 저적권 정책을 보실수 있습니다.http://dohae.com/helpdesk/etc03.asp
    인산학신약본초 음성
  • 미디어 89년 2월28일 신약 본초 원고 집필.
    제작:김윤국 막내 아드님.
    인산학사진/친필/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