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나들이 사고 응급조치 이렇게
[조선일보 2005.07.07 09:40:27]
[조선일보 임호준 기자]장마철이라지만 날씨가 변화막측하다. 2~3일 간격으로 비가 띄엄띄엄 내리지만 특정 지역에는 마구 퍼붓는 식이어서 ‘징검다리+게릴라 장마’라고 기상청은 설명한다. 기상 변화에 대한 사전 대비 없이 산이나 계곡 등을 찾았다간 낭패 당하기 십상이다.
징검다리 장마철 나들이에서 생길 수 있는 응급상황별 조치법을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철 교수와 경희대병원 응급의학과 고영관 교수의 도움말로 정리했다.
피부가 찢겨 피가 날 때 - 상처 안쪽에 연고·소독약 바르면 치유 더뎌져
계곡의 미끄러운 바위 등에서 넘어져 얼굴이나 팔·다리가 찢겼을 때는 먼저 상처 부위를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씻어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더러운 손으로 상처를 만지지 말아야 하며, 탈지면을 상처에 대는 것도 좋지 않다. 탈지면의 가는 섬유는 상처치유를 방해한다. 소독약이 있다면 상처 주변을 소독하는 것도 좋지만, 상처 내부에 연고나 소독약을 바르는 것은 좋지 않다. 실익(實益)도 없이 통증을 가중시키고 상처치유를 더디게 한다.
출혈이 심한 경우엔 소독된 거즈나 깨끗한 손수건을 상처 위에 덮고 직접 손으로 압박을 하면 된다. 거즈나 손수건에 깨끗한 물 등을 적셔 상처 부위가 마르지 않게 해야 한다. 거즈나 손수건이 말라 상처에 달라붙으면 상처치유가 늦어지고 흉이 생길 수 있다.
동맥 등을 다쳐 피가 콸콸 나는 경우엔 상처 부위보다 3㎝ 정도 위쪽을 압박붕대나 손수건 등으로 묶어줘야 한다. 끈을 사용해 좁은 부위를 묶는 것보다 붕대 등으로 가급적 넓은 부위를 묶는 것이 좋다.
뼈·관절을 다쳤을 때 - RICE 응급처치법 - 고정·얼음찜질·압박·심장보다 높게
목이나 팔·다리 뼈가 부러졌다고 의심될 때는 소위 ‘RICE(R·Rest, I·Ice, C·Com, E·Elevation)’ 응급처치법을 시행해야 한다. 상처 부위를 못 움직이게 고정시키고(R) → 차게 하고(I) → 출혈이 있다면 부위를 압박하고(C) → 다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주는(E) 방법이다. 환자를 구조한다고 상처 부위를 고정시키지 않고 몸을 움직이게 하거나 업으면 하지마비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생기므로 반드시 환자 몸을 고정시킨 상태로 이동해야 한다.
고정을 위해 부목을 댈 때는 골절된 부위를 중심으로 두 개 이상의 관절을 고정시켜야 한다. 무리하게 골절 부위를 펼 필요는 없다. 뼈가 구부러져 있다면 구부러진 상태로 부목을 대는 것이 좋다. 응급처치용 부목이 없다면 골판지, 나무판자, 잡지 등을 이용하면 된다.
등산을 하다 발목이나 무릎 등이 삔 경우엔 증상이 가볍더라도 쉬면서 붕대나 손수건 등으로 관절을 감싸 관절 운동을 제한해야 한다. 주변에 계곡물이 있다면 찬물에 관절을 담가 냉찜질을 하는 것이 좋다. 아무리 가볍게 삐었더라도 7~10일 정도 조심하면서 물리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관절이 삔 상태에서 무리하게 움직이면 반복적이 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머리 등을 부딪쳤을 때 - 증상의 경중 관계없이 병원서 정밀검사 받아야 산이나 계곡에서 넘어져 바위에 머리나 가슴, 복부를 세게 부딪친 경우엔 증상의 경중(輕重)에 관계없이 즉시 병원에 가서 정밀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먼저 머리가 부딪친 경우엔 환자가 보통 때와 다름없이 말하거나 행동하다가도 이튿날 또는 수일 후에 갑자기 의식불명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머리를 부딪친 뒤 ▲잠시라도 의식불명 상태가 됐거나 ▲오심(메스꺼움)·구토가 있거나 ▲두통과 저린 감각을 호소하거나 ▲눈, 코, 귀 등에서 출혈이 있는 경우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으로 달려가야 한다.
바위 등에 가슴을 부딪친 경우엔 갈비뼈가 부러지면서 폐를 찌르는 경우가 많다. 폐에 손상이 생겨 흉강(胸腔)에 피가 고이면(혈흉) 심한 객혈과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 있다. 복부가 부딪친 경우에도 내장이 터져서 복강(腹腔) 안에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복강 내 출혈이 일어나면 환자는 저혈압이 초래돼 쇼크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환자가 마실 물을 원하더라도 수술을 대비해 물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뱀·곤충에 물렸을 때 - 독사에 물렸을 땐 얼음찜질 안돼 … 벌에 쏘였을 때 하라독사에 물렸을 때는 입으로 독을 빨아내는 것이 좋다. 뱀독은 입으로 빨아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비록 삼킨다 해도 위 속에서 소화가 되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잇몸 염증이 있거나 입안에 상처가 있는 경우엔 빨지 않는 게 좋다.
일단 뱀독을 빨아낸 뒤엔 물린 곳을 부목 등으로 고정시킨 뒤 신속하게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물린 부위를 움직이면 뱀독이 림프관을 타고 신속하게 온몸으로 퍼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병원까지 가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엔 물린 부위 근처를 붕대나 손수건 등으로 약간 느슨하게 묶는 것이 좋다. 독을 덜 퍼지게 한다고 술을 마시거나, 상처 부위를 절개하거나, 얼음찜질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그러나 벌에 쏘인 경우엔 얼음찜질을 해 주는 게 좋다. 뱀독은 혈관 자체를 손상시켜 손이나 발 등 말초 부위로 가는 피의 양을 감소시키므로 혈관을 더 축소시키는 얼음찜질은 금물이다. 하지만 벌독 속 히스타민이란 물질은 오히려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벌독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얼음찜질을 하는 것이 좋다.
살갗에 박혀 있는 벌침을 손톱이나 핀셋으로 빼면 독주머니에 있던 독액이 일시에 피부 속으로 흡수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칼이나 신용카드, 나무젓가락 등을 이용해 옆으로 쓸 듯이 털어내는 것이 좋다. 벌독 알레르기 때문에 쇼크(아나필락시스증상)를 경험했던 사람은 야외에 나갈 때 휴대용 에피네프린 주사를 지참해 벌에 쏘이면 허벅지 등에 즉시 주사해야 한다.
그 밖의 곤충에 물린 경우엔 물린 곳을 비누와 물로 깨끗하게 씻고, 얼음찜질을 해 주는 게 좋다. 물린 곳이 가렵다고 긁으면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물린 곳을 깨끗한 거즈로 덮어주고, 손도 깨끗하게 씻는 것이 좋다.
◆ 구급상자에 꼭 챙길 것들가위, 핀셋, 면봉, 붕대(3호, 4호, 5호), 거즈, 탈지면, 일회용 반창고, 머큐로크롬, 70% 소독용 알코올, 습포제, 항생제연고, 항히스타민연고, 진통제, 해열제, 정장제, 멀미방지약
댓글 ( 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