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수진설
제수 진설은 각 가문과 지방에 따른 관습과 풍속 등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당파에 따라 다른 점도 있다. 그러나 신위는 북쪽에 모시어 남쪽을 향하도록 하는 것 등은 동일하며 일반적인 제수의 진설 법은 다음과 같다.
(2)제수진설의 기본원칙
1. 좌서우동(左西右東) : 신위를 어느 쪽에 모셨든 영위를 모신 쪽이 北이되고 영위를 향해서 우측이 東이며 좌측이 西이다.
2.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과 고기(肉類)를 함께 진설 할 때는 생선은 東 고기는 西이다. 따라서 三탕을 쓸 때 어탕이 東, 육탕이 西, 계탕은 중앙에 놓게 된다.
3. 이서위상(以西爲上) : 신위를 향해서 좌측이 항상 상위가 된다. 지방을 붙일 때 高位(아버지)를 왼편 즉 西쪽에 붙이는 이유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4.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색 과실은 동쪽, 흰색 과실은 서쪽에 진설하는 가문도 있다. 따라서 홍동백서로 진설하는 가문은 대추가 가장 우측, 밤이 좌측으로 진설 한다.
5. 좌포우해(左脯右해) : 포를 좌에, 식혜를 우에 놓는다.
6. 두동미서(頭東尾西) : 생선의 머리가 동쪽방향으로 꼬리는 서쪽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7.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안 쓰며 생선 중에서는 끝 자가 치자로 된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8.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안는다.
9. 설에는 메(밥)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메 대신 송편을 놓아도 된다.
10. 시저(수저)를 꽂을 때에는 패인 곳을 제주의 동쪽으로 메를 담은 그릇의 한복판에 꽂는다.
11. 두 분을 모시는 양위 합체 때에는 메(밥)와 갱(국)과 수저를 각각 두벌씩 놓으면 된다.
12. 남좌여우(男左女右)라 하여 남자는 좌측 여자는 우측에 모시는 것이 원칙이다.
13. 참고로 조(대추)는 씨가 하나로 나라 임금을 뜻하고 율(밤)은 세 톨로 삼정승, 시(감, 곶감)는 여섯개로 육방관속, 이(배)는 여덟개로 八도 관찰사를 뜻함으로 조율시이(棗栗柿梨)의 순서가 옳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더 많다.
(3)제수진설의 순서
[맨 앞줄] 과실이나 조과(造果)를 진설 한다.
◎ 조율시이(棗栗柿梨) 진설법
진설자의 왼편으로부터 조(대추), 율(밤), 시(곶감), 이(배)의 순서로 진설하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를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 산자, 약과)를 진설 한다.
◎ 홍동백서(紅東白西)진설 법
붉은 색 과일을 동쪽(제관의 우측), 흰색 과일을 서쪽(제관의 좌측)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조과류인 다식, 산자, 약과 등을 진설 한다.
[둘째 줄] 반찬류를 진설 한다.
좌포 우혜의 격식에 따라 왼쪽에 북어포, 대구포, 오징어포, 문어포 등을 진설하고 오른 쪽에 식혜를 차린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으로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차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참채(동치미)는 그 다음에 진설 한다.
[셋째 줄] 탕(湯)을 진설 한다.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물고기 탕은 동쪽(우측) 육류탕은 서쪽(좌측)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채소 두부 등으로 만든 소탕을 진설하되, 단탕, 삼탕, 오탕 등은 반드시(홀수) (음수)로 쓴다.
[넷째 줄] 적과 전을 진설 한다.
적이라 함은 불에 굽거나 찐 것을 말하며 전이라 함은 기름에 튀긴 것을 말한다.
◎ 어동육서(魚東肉西)진설 법에 의하여 어류를 동쪽에, 육류를 서쪽에 진설하며 그 가운데 두부 채류를 진설 한다.
◎ 두동미서(頭東尾西)라 하여 어류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한다. 동쪽은 진설자의 우측 서쪽은 좌측을 뜻한다.
[다섯째 줄] 메와 갱을 진설하고 잔을 놓는다.
메(밥)는 오른쪽, 갱(국)은 왼쪽에 올리며 잔은 메와 갱사이에 올린다.
시저(수저와 대접)는 단위제(單位祭)의 경우는 메의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고위(高位)의 갱 옆에 놓는다. 면(국수)은 건데기만 담아 왼쪽 끝에 올리며 편(떡)은 오른쪽 끝에 올리고, 청(조청^꿀)은 편의 왼쪽에 차린다.
[향안(香案)]
향로와 향합을 올려놓는 상 축판을 향안에 올려놓고 향로와 향합도 같이 놓으며 향안 밑에 모사그릇과 퇴주그릇, 제주(祭酒)주전자 등을 놓는다. 양위가 모두 별세했을 때의 행사(行祀) 방법은 합설(合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지방(紙榜) 쓰는 법
본래는 신주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야 하지만 신주를 모시지 못할 경우에는 지방을 써서 제사를 지낸다. 지방은 세로 20센티 가로 4센티 정도의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에 쓰면 된다.
지방에는 벼슬이 있으면 벼슬을 쓰고 없으면 "현조고처사.." 또는 "현조고학생부구신위" 이렇게 쓰면 되고, 여자는 남편이 벼슬이 있으면 벼슬에 따라 달라진다.
남편의 벼슬이 일품이면 정경부인(貞敬夫人), 이품이면 정부인(貞夫人),구품이면 유인(孺人)이라고 쓰는데, 벼슬이 없더라도 "유인이씨신위" 등으로 쓰면 된다.
그리고, 학생(學生)은 처사(處士) 또는 자사(自士)라고도 쓰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재) 또는 수사(秀士)라고도 쓴다.
|
댓글 ( 0개 )